영무성재일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하응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9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하응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19년 후손 재명(在明)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노상직(盧相稷)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호래(趙鎬來)와 재명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세계, 연보, 시 12수, 서(書) 10편, 잠(箴) 1편, 제문 2편, 권2는 부록으로 만사 24편, 제문 7편, 가장(家狀)·행장·묘갈명·척록(摭錄)·봉안문·상향축문(常享祝文)·상량문 각 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70세에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가서 감회를 읊은 「환거덕산(還居德山)」이 있는데, 인생의 무상함을 표현하였다. 또 이에 신가(申檟)·성여신(成汝信)·하협(河悏) 등 10명이 화답한 시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서는 정구(鄭逑)·이광정(李光庭)·최천건(崔天健) 등 당대의 명사들과 주고받은 것이며, 대개 문후에 관한 짤막한 내용들이다. 이광정에게 보낸 것은 그 고을 선비가 무고를 입고 투옥된 일에 대하여 옥사(獄事)의 전말을 적어 보내며 선처를 부탁하는 내용이다.

제문에는 덕산(德山) 대법촌(大法村)의 개기축문(開基祝文)이 있다. 부록의 만사는 이광정·하성(河惺)·하수일(河受一) 등이 쓴 것이며, 제문은 강경림(姜景霖)·이천경(李天慶)·정대순(鄭大淳) 등이 썼다.

행장은 정종로(鄭宗魯), 묘갈명은 하겸진(河謙鎭)이 찬하였고, 「대각서원봉안문(大覺書院奉安文)」과 상향축문은 이규년(李奎年)이 지었다.

집필자
이종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