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회상 ()

목차
국악
작품
궁중 혹은 민간에서 연주되고 있는 조곡(組曲)과 같은 형식의 음악.
이칭
이칭
현악영산회상
목차
정의
궁중 혹은 민간에서 연주되고 있는 조곡(組曲)과 같은 형식의 음악.
내용

궁중 혹은 민간에서 연주되고 있는 조곡(組曲)과 같은 형식의 음악.<영산회상>에는 줄풍류(현악영산회상)와 대풍류(삼현영산회상), 그리고 줄풍류를 완전4도 아래로 변조한 평조회상 등이 있다. 흔히 영산회상이라고 할 경우에는 줄풍류인 현악영산회상을 가리키는데, 이는 거문고가 그 선율의 중심을 이룬다고 해서 거문고회상이라고도 한다.

현악영산회상의 악기 편성은 거문고 1, 가얏고 1, 해금 1, 단소 1, 세피리 1, 젓대 1, 장구 1로 편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경우에 따라서 양금을 편성하기도 한다.

이렇게 소규모로 편성한 것 외에 피리는 음량이 적은 세피리를 사용하고, 젓대는 주로 저취(低吹)와 평취(平吹)에 의해 연주되기 때문에 현악기와 조화를 이루며 일종의 실내악과 같은 연주형태를 보여준다. 장구도 채로 복판을 치지 않고 변죽을 치며, 해금은 원산을 갓으로 옮겨서 공명을 줄여 음량을 줄이게 연주하고 있다. 현악영산회상은 상영산(上靈山)·중영산(中靈山)·세영산(細靈山)·가락덜이·삼현도드리·하현도드리·염불도드리·타령·군악의 9곡으로 되어 있으며, 이렇게 9곡을 연주하는 것을 민회상이라 한다. 또, 9곡 위에 계면가락도드리·양청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의 3곡을 계속 연주하는 것을 가진회상이라고도 한다.

<영산회상>의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 같은 육자염불(六字念佛)을 채용한 염불과 경쾌한 리듬의 타령·군악이 ≪유예지 游藝志≫에 각각 독립한 곡으로 처음으로 나오고, ≪삼죽금보 三竹琴譜≫에 이르러 2곡이 <영산회상>의 하현 끝에 접속되어 지금에 이르렀다. 그리고 ≪유예지≫의 <육자염불> 끝의 경삼회(磬三回)와 군악의 높이 되는 권마성(勸馬聲) 같은 음의 묘사가 기악곡에 등장한 점이 주목된다.

염불·타령·군악과 함께 4장으로 된 삼현회입(三絃回入)이 처음으로 ≪유예지≫에 소개되었다. 그리고 삼현환입(三絃還入)에 계속되는 하현의 이름은 ≪유예지≫에 보이지 않지만, 칠괘상성(七棵商聲)으로 반복, 연주하면 지루하기 때문에 완성(緩聲)으로 4괘로 타는 것을 삼현환입에 상잡(相雜)한다고 하현의 연주를 설명했으며, 그 뒤 ≪서금보 西琴譜≫에 이르러 처음으로 하현환입이라는 말이 발견되었다.

현행 가락덜이 3장 10각(刻)은 현행 세영산을 변주한 것이다. 현행 세영산 4장 14각은 현행 중영산 2장에서 끝 5장까지의 14각을 빠르게 변주한 것이다.<영산회상>의 최고악보인 ≪대악후보 大樂後譜≫는 영산회상불보살(靈山會相佛菩薩)이라는 가사의 한 자를 악보 20정간(井間) 1행에 붙였고, 장별(章別)이 없다.

이 고악보가 <영산회상>곡의 원천이고, 거기에서부터 <영산회상>이 후대로 연주되어 오면서 중영산·세영산·가락덜이의 파생곡을 낳았으며, 그것에 다른 계통(系統)의 곡인 삼현도드리·하현도드리·염불도드리·타령·군악·계면가락도드리·양청도드리·우조도드리를 추가시켜 지금과 같은 커다란 모음곡인 <영산회상>이라는 현악 합주곡을 이루어 놓았다.

이와 같이 민간에서 즐겨 한 현악영산회상은 여러 가지 본영산의 변주곡을 만들어 냈고, 또한 계면가락도드리 이하 2곡의 빠른 곡을 채택했지만 궁중에서 연주된 관악영산회상은 현악영산회상의 끝의 빠른 곡 3곡을 채택하지 않았다.

별곡이라고 하는 것은 <영산회상>의 상영산부터 시작하고 삼현도드리 4장 끝에서 우조로 변조하여 도드리(밑도드리 혹은 윗도드리)로 넘어가서 도드리 7장 끝에서 다시 계면조로 변조시켜 삼현도드리 4장으로 넘어간다. 별곡은 <영산회상>에 새로 삽입된 도드리를 뜻한다. 현악영산회상의 양청도드리와 우조가락도드리는 잔도드리를 보다 빠른 속도로 변주한 곡이다.

지금까지 <영산회상>의 음계에 대하여 밝혀진 바로는 원래의 본영산은 5음음계의 계면조였으나, ≪유예지≫ 이후의 영산회상은 3음음계 또는 4음음계로 변하였다.

참고문헌

『유예지(游藝志)』
『서금보(西琴譜)』
『대악후보(大樂後譜)』
「유예지(遊藝志)의 군악타령(軍樂打令)과 현행군악(現行軍樂)과의 관계」(장사훈, 『국악논고(國樂論攷)』,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영산회상(靈山會相)」(이혜구, 『한국음악서설』,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7)
「중령산고(中靈山攷)」(이혜구, 『한국음악논총』, 수문당, 1976)
「영산회상(靈山會上)」(이혜구, 『한국음악논집』, 세광음악출판사, 1985)
집필자
권오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