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복 ()

목차
관련 정보
관.계례
관.계례
의생활
물품
관혼상제(冠婚喪祭)나 연희를 비롯한 각종 의식(儀式) 때에 착용하는 복식.
목차
정의
관혼상제(冠婚喪祭)나 연희를 비롯한 각종 의식(儀式) 때에 착용하는 복식.
내용

우리 나라는 예를 중시하여 각종 예제(禮制)는 물론 예복도 매우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따라서, 조선시대에 예복을 입는 제도와 절차는 매우 복잡했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과 함께 사회제도의 변천과 신분계급의 철폐, 가치관의 변화 등으로 예복도 변화를 겪게 되었다.

신분별 예복제도가 사라지고 서구문화의 유입과 더불어 양복이 보편화되면서 서구의 예복이 우리 예복의 일익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에 비해 한복은 일상복에서 멀어지게 되어 오늘날에는 오히려 한복 평상복이 예복화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인간의 생활 중 관혼상제를 매우 중히 여겼다. 따라서, 의식과 절차에 따라 관례복·혼례복·상례복·제례복 등으로 예복이 매우 세분되어 있었다. 또한, 관혼상제 이외에 생일·회갑·회혼례를 비롯한 각종 잔칫날에는 주인공은 물론 가족들도 예복을 착용하였다.

왕실의 경우에는 왕이나 왕세자는 법도에 따라 면복(冕服)·원유관(遠遊冠)·강사포(絳紗袍)를 착용하였다. 조신(朝臣)은 이에 맞는 조복(朝服)·공복(公服)·상복(常服) 등의 관복을 입었다. 왕비나 왕세자빈은 적의(翟衣) 또는 원삼(圓衫)을 입고 머리에는 대수(大首)·떠구지머리·어여머리 등을 하였다.

종친 또는 품위가 높은 내명부는 원삼에 떠구지머리나 어여머리를, 외명부가 진현(進見)할 때는 원삼에 어여머리를 하는 등 성장을 하고 여기에 어울리는 장신구를 패용하였다. 또한, 각 가정의 행사에도 예법에 맞게 대례복이나 소례복을 착용하였다.

갑오경장 이후 관복의 간소화와 단발령에 이어 양복이 관리들의 예복으로 제정되기에 이르렀다. 즉, 1900년(광무 4)에 구미식으로 문관 복장을 제정하였다. 대례복은 영국의 궁중예복을 모방한 것이며, 소례복은 유럽의 시민예복이었던 연미복(燕尾服), 상복(常服)은 시민평복이었던 신사복을 착용하였다.

또한, 엄비를 비롯한 왕실 여성 중 일부나 해외에서 귀국한 상류층 일부 여성들은 버슬 스타일(bustle style)이나 S자 실루엣의 드레스를 착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구습을 따랐고 특히 관혼상제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였다. 다만, 일부 예복만 간소화되었다.

양복이 보급됨에 따라 예복도 변화하게 되었다. 그 중 혼례복이 가장 먼저 변해서 기독교 가정이나 신학문을 배운 층에서 신식혼례가 이루어졌다. 즉, 신랑은 연미복, 신부는 흰색 치마저고리나 웨딩드레스에 머리에는 면사포를 쓰고 부케를 든 모습을 쉽게 볼 수 있게 되었다.

신식 결혼을 하더라도 신부가 시집 어른께 폐백을 올릴 때는 신랑은 사모관대, 신부는 족두리·원삼 또는 화관·활옷을 착용하여 고유의 전통을 지켰다. 특히 1950, 1960년대 이후 신랑은 양복이나 턱시도(tuxedo)를, 신부는 웨딩드레스를 입고 폐백은 예식장에서 올리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도 폐백의 절차와 복식은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상례는 혼례에 비해 변화의 속도가 늦은 편이었으나 <가정의례준칙 家庭儀禮準則>이 제정됨에 따라 장례(葬禮)와 복(服)을 입는 기간이 짧아지게 되었다.

또한, 상주는 광복 이전까지는 대개 굴건제복의 옛 상복을 그대로 입었으나 점차 평상적인 양복에 베[麻布]로 만든 건을 쓰고, 베로 만든 완장을 두르는 정도가 되었다. 여자는 흰색 치마저고리를 입되 깃옷(베나 깃광목으로 지은 옷)은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유교에서 연유된 제례에는 남자들은 도포나 두루마기, 여자는 옥색 치마저고리를 입는 것이 원칙이나 오늘날에는 거의 평상복으로 대신하고 있다. 특히, 기독교 신자들은 추모식으로 대신하기 때문에 제례의 중요성은 과거에 비해 줄어들고 있다.

다만 가족과의 만남과 돌아가신 분을 기억하는 정도의 의미만 남아 있게 되었다. 한편, 관례는 거의 치러지지 않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실정이다. 그러나 관혼상제가 간소화되는 것에 비해 부부동반의 각종 연회가 늘어나면서 서구식 예복이나 한복 차림이 늘고 특히 한복의 예복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과거의 한복 평상복이 일상생활에서가 아닌 특별한 행사복, 의례복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에 있어서는 혼례를 제외하고는 뚜렷한 예복의 격식을 찾기 어렵고 정장으로 예복을 대신하게 되었다. 상복에 있어서도 평상복에 무채색만을 택하면 된다.

참고문헌

『한국복식사연구』(류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홍나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