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현관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혈성단애국부인회를 조직하였고, 대한민국애국부인회 총재 겸 재무부장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888년(고종 25)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서울
정의
일제강점기 때, 혈성단애국부인회를 조직하였고, 대한민국애국부인회 총재 겸 재무부장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개설

서울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재령 명신여학교(明信女學校) 교사로 있다가 3·1운동 발발 직후 상경하여, 1919년 3월 정신여학교 동창인 이정숙(李貞淑)·오현주(吳玄洲)와 함께 정신여학교 학생 및 그 밖의 동지를 규합하여 혈성단애국부인회(血誠團愛國婦人會)를 조직하였다.

이 조직을 통해 3·1운동을 하다 투옥된 독립운동가의 옥바라지 및 가족의 생계지원 활동을 하였다. 같은 해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원 임득산(林得山)이 가지고 온 편지를 받아 긴밀한 연계를 가지고 활동하는 한편, 기구도 확대하는 등 독립운동단체로서의 골격을 갖추어 나갔다.

같은 해 6월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파견된 대표 이병철(李秉澈)로부터 효율적인 독립운동을 하기 위하여서는 부녀독립운동단체의 통합이 필요하다는 말을 듣고, 최숙자(崔淑子)·김희옥(金熙玉) 등의 대조선독립애국부인회(大朝鮮獨立愛國婦人會)와 통합, 대한민국애국부인회로 개편하고 총재 겸 재무부장에 선임되었다.

평양·대구·개성·진주·기장·밀양·거창·통영·양산·울산·부산·마산·군산·회령·정평·목포·전주·광주에 지부를 조직하는 등 지방조직을 확대하였다. 그리고 회비와 회원이 만든 수예품 판매로 얻은 수익금을 군자금으로 송부하는 활동을 하다가, 같은 해 11월 오현주의 배반으로 동지들과 함께 잡혔다.

참고문헌

『한국근대여성운동사연구』(박용옥,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조국을 찾기까지』(최은희, 탐구당, 1973)
『한국독립운동지혈사(韓國獨立運動之血史)』(박은식, 유신사, 1920)
『고등경찰요사(高等警察要史)』(경상북도경찰국, 1934)
집필자
강진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