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룡묘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와룡묘 전경
서울 와룡묘 전경
민간신앙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조선후기 에 건립된 제갈공명을 모시는 사당. 사묘 · 묘사(廟祠). 시도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조선후기 에 건립된 제갈공명을 모시는 사당. 사묘 · 묘사(廟祠). 시도민속문화재.
내용

1974년 서울특별시 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정치가인 제갈공명(諸葛孔明)을 모시는 묘사(廟祠)로 조선시대 말 엄상궁(嚴尙宮)이 처음으로 세웠다는 설이 있다.

경내에는 와룡묘 외에 단군묘·제석전(帝釋殿)·약사전(藥師殿)·삼성각(三聖閣)·요사(寮舍)·문신각(文臣閣) 등이 있어, 와룡묘가 중국 도교계 신령을 모시는 단순한 사당이 아니라 한국화한 종교 혼합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민간에서는 이것을 와룡당이라 부르고, 중국신령을 모시는 전래계급의 무당이 즐겨 치성을 드린다. 옛날에는 특히 맹격(盲覡)들이 많이 찾았다. 대상신은 제갈공명과 관운장(關雲長)이다.

《선조실록》에 의하면 1605년(선조 38) 평안도 영유현(永柔縣)에 공식으로 와룡묘를 짓게 하였다 하고, 그 뒤 역대 제왕이 관원을 보내어 제를 올리거나 제문을 지어 보낸 예도 있다. 또한, 사액(賜額)의 예도 전한다. 그것과 서울 예장동의 와룡묘와의 관계는 미상이다.

이 와룡묘는 1924년에 화재를 입어 훼손되었다가 1934년에 재건되어 오늘에 이른다. 와룡묘의 내부에는 제갈공명과 관운장의 석고상이 모셔져 있는데 각기 그 둘레가 2m, 높이가 2.5m이다.

그 밖에 대북·소북·종 등의 의식용 악기가 갖추어져 있다. 와룡묘 전체는 중국 도교의 전래 뿐 아니라 우리 나라 무(巫)의 독특한 면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사당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서울의 문화재』(서울특별시, 198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조흥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