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곡집 ()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 문인 강백(姜栢)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1938년
간행 시기
1938년
저자
강백(姜栢)
편자
강신복(姜信福)
편저자
강백(姜栢)
권책수
6권 1책
권수제
우곡집(愚谷集)
판본
석인본
표제
우곡집(愚谷集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내용 요약

『우곡집(愚谷集)』은 조선 후기 문인 강백(姜栢)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저자의 7대손 강신복(姜信福)이 편집·간행하였다. 6권 1책의 석인본으로, 권수와 권말에 서문과 발문 8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 1∼4은 시, 권 5는 만사(挽詞), 권 6은 사(詞)와 공령시(功令詩)가 수록되어 있으며, 권 6의 후반부에 행장(行狀)과 지명(誌銘)이 부록으로 수록됐다. 수록 작품은 대부분 시로, 오언 · 칠언의 고시 · 율시 · 배율을 비롯하여 사(詞) · 곡(曲) · 행(行) · 탄(嘆) 등 형식이 다양하다.

정의
조선 후기, 문인 강백(姜栢)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서지사항

6권 1책의 석인본(石印本)으로, 1938년에 저자의 7대 후손인 강신복(姜信福)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과

권수주1에는 이병관(李炳觀) · 이명상(李明翔) · 이흥녕(李興寧) · 홍승균(洪承均)주20이 수록되어 있으며, 주2에는 후손 강신복 · 강석윤(姜錫允) · 강신한(姜信漢)과 박재연(朴在連)의 주3이 수록되어 있다. 권 1∼4에는 시 327수, 권 5에는 만사(挽詞)/민백 표제어는 '輓詞'로 되어 있는데 우리말샘에 '輓詞'와 '挽詞'가 동일하다고 나와있어서 항목 연결했습니다./가 수록되어 있으며, 권 6에는 사(詞) · 주4와 함께 부록으로 행장(行狀)주5이 수록되어 있다.

수록 작품은 시가 대부분으로 이 책의 실제 내용은 시집인 셈이다. 형식으로 보아도 오언 · 칠언의 고시 · 율시 · 배율을 비롯하여 사 · 곡(曲) · 주6 · 탄(嘆) 등 다양한 시의 형태를 갖추었다. 수록된 시의 주7주8하면서도 주9하여, 『우곡집』은조선 후기를 대표할 만한 시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우곡집』은 불교적인 시가 많은 것이 특색이다. 사찰과 관련된 시제만 해도 17수에 이르며, 그 밖의 다른 시에도 불교적인 사상이 곁들여 있다. 이인좌(李麟佐)의 난에 연루되어 느낀 좌절감이 강백의 불교적 작품 경향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숙백운사(宿白雲寺)」의 “새들도 주10을 이루니, 사람도 하늘도 모두 주11일세.”, 「산사(山寺)」의 “색마다 참모습 아니며 공하고 공한 거짓된 이 몸, 나고 죽기 면하고 싶거든 주12의 먼지를 털어버리라.”, 「숙문수암(宿文殊庵)」의 “고통의 바다에서 뜨고 잠기니 조용할 때가 적고, 절 문을 드나드니 깨달을 것 많도다.”, 「심사(尋寺)」의 “자비로운 불상 앞에 찬탄하는 중생의 마음” 등에서 불교의 시어를 많이 사용했다. 「도요(悼夭)」의 “이제부턴 문 닫고 틀어박혀 주13 주14으로 참선을 배워야지. 이 몸뚱이 가짜인줄 점차로 알았으니 맹세코 주15에 향 주16 드려야지.” 등에서 시의 내용과 시어에서도 이와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강백(姜栢)주17은 일본에서 더욱 높아, 주18이 다시 내려왔다.”라는 극찬을 받았다고 한다. 강백은 1727년(영조 3) 별시(別試)의 문과에 주19로 급제한 시 문학의 수재이다.

「청석곡(靑石谷)」 · 「동설령(凍雪嶺)」 등 수십 수의 산수시는 유배지 철산과 관련 있는 작품들이다. 사 중 「전가십삼수(田家十三首)」에는 가혹한 조세에 시달리는 농가의 참상이 실감 있게 묘사되어 있다.

참고문헌

원전

『愚谷集』(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주석
주1

책의 첫째 권. 우리말샘

주2

책의 맨 끝. 우리말샘

주3

책의 끝에 본문 내용의 대강(大綱)이나 간행 경위에 관한 사항을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주4

과거를 볼 때에 짓는 시. 우리말샘

주5

비석이나 종 따위에 새긴 글. 우리말샘

주6

한시(漢詩)의 체의 하나. 악부(樂府)에서 나온 것으로 사물이나 감정을 거침없이 표현하는 형식이다. 우리말샘

주7

문예 작품 따위에서, 격식과 운치에 어울리는 가락. 우리말샘

주8

‘웅건하다(웅대학고 건장하다.)’의 어근. 우리말샘

주9

정밀하고 자세함.

주10

중생이 본디 가지고 있는 부처가 될 성질. 우리말샘

주11

부처의 깨달음인 보리를 구하는 마음. 우리말샘

주12

육식(六識)을 낳는 눈, 귀, 코, 혀, 몸, 뜻의 여섯 가지 근원. 우리말샘

주13

소림굴(少林窟): 달마 대사가 9년간 도를 닦던 곳. 우리말샘

주14

벽을 마주 대하고 좌선함. 또는 그런 일. 우리말샘

주15

부처의 앞. 우리말샘

주16

‘향고양(부처 앞에 향을 피움.)’의 원말. 우리말샘

주17

시를 잘 지어서 얻은 명예. 우리말샘

주18

벌을 받아 인간 세계로 쫓겨 내려온 선인(仙人). 우리말샘/중국 당나라의 시인 ‘이백’을 달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9

조선 시대에, 과거 합격자를 성적에 따라 나누던 세 등급 가운데 첫째 등급. 정원은 세 명으로, 일 등인 장원랑(壯元郞)은 종6품, 이 등인 방안(榜眼)과 삼 등인 탐화랑(探花郞)은 각각 정7품의 품계를 받았다. 우리말샘

주20

책이나 논문 따위의 첫머리에 내용이나 목적 따위를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