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담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채득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0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채득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3책. 목활자본. 1860년(철종 11) 9대손 주구(疇龜)가 간행하였다. 천(天)·지(地)·인(人)으로 분책되었는데, 그 중 천책에는 『군신언지록(君臣言志錄)』과 그것에 대한 성만징(成晩徵)·서명응(徐命膺)·채휴징(蔡休徵)의 발문이 실려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군신언지록』은 병자호란 이후 왕자들을 호종하여 심양(瀋陽)에 가 있을 때, 어제시(御製詩)를 비롯하여 소현세자(昭顯世子)·봉림대군(鳳林大君)·인평대군(麟坪大君) 등의 시와 그것에 차운한 작품을 함께 묶은 것이다. 당시의 왕과 왕자들의 심경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지와 인책의 권1에 시 87수, 권2는 부록으로 유후조(柳厚祚)가 지은 행장, 홍경원(洪景源)이 지은 묘지명, 증직시연계(贈職時筵啓), 증직교지(贈職敎旨), 존주록(尊周錄), 예조삼강록(禮曹三綱錄), 배신전(陪臣傳), 축문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어 증유(贈遺)로 이정구(李廷龜) 등이 쓴 채효렴사안(蔡孝廉詞案)·차무우정십영(次舞雩亭十詠)·우담신정기(雩潭新亭記)·무우정기(舞雩亭記)·무우정중수기(舞雩亭重修記) 등의 글이 실려 있다.

저자가 직접 쓴 작품은 시 87수뿐이어서 저자의 작품세계를 깊이 있게 살피기는 어렵다. 이 책은 2권 1책으로 된 이본(異本)이 있는데, 권1은 저자의 시, 권2는 『군신언지록』의 뒷부분만 부록 뒤에 모아 붙여 전체를 한 책으로 합하여 묶은 것이다.

집필자
양홍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