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옛말본 (우리옛말)

언어·문자
문헌
샘문화에서 허웅이 15세기 국어의 공시적 말본과 형태론을 체계화하여 1975년에 간행한 문법서. 국어문법서.
목차
정의
샘문화에서 허웅이 15세기 국어의 공시적 말본과 형태론을 체계화하여 1975년에 간행한 문법서. 국어문법서.
내용

크라운판. 994면. 1975년 샘문화에서 펴내었다. ‘15세기 국어 형태론’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책의 내용은 크게, Ⅰ.앞머리, Ⅱ. 조어론, Ⅲ.준굴곡론, Ⅳ.굴곡론, Ⅴ.그밖의 품사들로 짜여 있다.

<앞머리>는 말본의 두 큰 부문을 통어론과 형태론으로 나누고, ‘형태론’에서는 굴곡법과 조어법, 그리고 형태소를 설명하고 있다. 그 밖에 통어적 구성과 형태적 구성, 월성분, 씨의 분류(이름씨·대이름씨·셈씨·매김씨·어찌씨·이음씨·느낌씨·움직씨·그림씨·잡음씨·토씨 등 11가지), 15세기 형태론의 전제가 되는 그 당시의 음운학의 대강 및 표기법 등을 설명하고 있다.

<조어론>은 조어론과 인접부문과의 관계, 합성법과 파생법과의 관계, 합성법, 합성어, 파생법, 앞가지파생어, 뒷가지파생어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준굴곡론>에서는 임자씨(체언)와 토씨로 나누되, 임자씨는 그 됨됨이, 다양한 용법, 매인이름씨(불완전명사), 형태음소적 변동 등에 대하여 논하고, 토씨는 자리토씨, 연결토씨, 물음토씨, 도움토씨와 토씨의 겹침 등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굴곡론>은 풀이씨의 특색과 갈래, 풀이씨의 줄기, 씨끝의 분석, 맺음씨끝의 굴곡범주, 안맺음씨끝의 굴곡범주, 씨끝형태소의 연결 등으로 나누었다. ‘풀이씨의 특색과 갈래’에서는 그 특색을 밝히고, 풀이씨의 갈래를 잡음씨와 다른 풀이씨, 매인풀이씨, 불구풀이씨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풀이씨 줄기’에서는 그 됨됨이와 형태음소적 변동을 설명하였다. ‘씨끝의 분석’에서는 맺음씨끝, 안맺음씨끝, 씨끝의 굴곡범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맺음씨끝의 굴곡범주’에서는 한 기능법의 굴곡범주와 두 기능법의 굴곡범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안맺음씨끝의 굴곡범주’에서는 높임법·인칭법·주체대상법·때매김법·강조법·영탄법 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씨끝형태소의 연결’에서는 안맺음씨끝과 맺음씨끝이 연결되어 나타나는 활용형을 모두 일람표로 만들었다. <그밖의 품사들>에서는 꾸밈씨와 홀로씨(독립사)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의 주된 언어이론은 형태론을 형태·통어적 관점에서 겉구조와 속구조의 기능관계로 이해하는 기능구조론이다. 이 책은 15세기국어의 공시적 말본과 형태론을 체계화한 것으로, 국어연구사에 있어서 그 의의가 크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