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재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이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70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이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7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770년(영조 46) 족종손 미(瀰)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미의 서문과 권말에 이병연(李秉淵)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시 76수, 권2에 서(序) 3편, 문(文) 1편, 제문 4편, 부록으로 가장 1편, 묘표·묘지명·묘갈명 각 1편, 기유사시(記遺事詩) 47조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끝에 종제 육(堉)의 『노곡유고(魯谷遺稿)』가 첨부되어 있는데, 시 16수, 서(書) 5편, 부록으로 제문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증별(贈別)·차운(次韻) 등 주로 서사시와 서정시가 많으며, 장렬왕후(莊烈王后)·명성왕후(明聖王后)·인경왕후(仁敬王后) 등에 대한 만장도 상당수 있다. 시의 조격과 음률은 중국 당대(唐代) 문장가들의 시체를 모방하였다.

서(序) 중 「당률정선서(唐律精選序)」에서는 중국 초당(初唐)으로부터 성당(盛唐)에 이르기까지 제가(諸家)의 시집 중에서 좋은 작품 301편을 정선하여 편집한 경위와 시작의 요법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차유장린남산연구운서(次柳長麟南山聯句韻序)」에서는 서울의 남산이 도읍지로서 적합한 지역임을 설명하고, 개성의 송악산(松岳山), 부여의 부소산(扶蘇山)에 비교하여 남산이 명산임을 역설하였다.

『노곡유고』에는 송시열(宋時烈)·윤증(尹拯)을 방문하고 읊은 시가 있으며, 스승인 박세채(朴世采)·남구만(南九萬)과 경전(經典)·『근사록(近思錄)』 및 예설(禮說) 등에 대하여 논술한 것이 있다.

집필자
조기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