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구단 ()

목차
관련 정보
환구단의 황궁우
환구단의 황궁우
건축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천자가 하늘에 제를 올리는 제단. 사적.
이칭
이칭
환단(圜壇), 원구단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1967년 07월 15일 지정)
소재지
서울 중구 소공동 87-1번지
내용 요약

환구단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천자가 하늘에 제를 올리는 제단이다. 조선은 제후국을 자처하여 천제를 지내지 않았으나 고종이 대한제국을 수립하고 황제로 즉위하면서 제천의식을 거행하기 위해 조성하였다. 천원지방이라 하여 하늘에 제를 올리는 단을 둥글게 쌓아 환구단을 조성했고 환구의 북쪽에 황궁우를 건립하고 신위판을 봉안하면서 태조를 태조고황제로 추존하여 배천하였다. 1914년 조선철도호텔을 건립하면서 환구단은 철거되었고 현재는 신위를 모셨던 황궁우만 남아 있다. 현재 조선호텔 부지 내에 있고 2009년 환구단의 정문이 복원되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천자가 하늘에 제를 올리는 제단. 사적.
개설

환구단(圜丘壇)은 천자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곳으로, 일명 환단(圜壇)이라고도 한다. 1967년 7월 15일에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조선철도호텔을 건립하면서 환구단이 철거되고 현재는 신위를 모셨던 황궁우만 남아있게 되었다.

내용

환구단은 천자(天子)가 하늘에 제를 드리는 둥근 단으로 된 제천단(祭天壇)인데, 예로부터 주1이라 하여 하늘에 제를 지내는 단은 둥글게, 땅에 제사 지내는 단은 모나게 쌓았다. 국왕이 정결한 곳에 제천단을 쌓고 기원과 감사의 제를 드리는 것은 농경문화의 형성과 더불어 일찍부터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983년(고려, 성종 2) 정월에 왕이 환구단에 풍년기원제(豊年祈願祭)를 드렸다는 『고려사(高麗史)』의 기록으로 보아, 이미 이전부터 이러한 의식이 행하였다고 추측된다. 이러한 제천의례는 조선시대에도 계승되었다. “1398년(태조 7) 4월, 가뭄이 심할 때 종묘(宗廟) · 사직(社稷) · 원단(圓壇)과 여러 용추(龍湫)에 비를 빌었다.”는 실록의 기록은 이를 잘 말해준다.

조선시대 문헌에 나오는 환단의 위치를 보면, 한강 서동(西洞) 또는 남교(南郊)로 되어 지금의 한남동 부근으로 추정된다. 또한 환구단의 구조는 처음에는 고려의 제도를 따라 단 주위를 6장(丈)으로 하고 단 위에 천황대제(天皇大帝)와 오방오제(五方五帝)의 신위를 봉안하였다. 그러나 단상이 좁아 1411년(태종 11)에 확장하여 단 주위를 7장으로 하여 단으로 오르는 12층계를 만들고 단 아래에는 3개의 토담〔土壝〕을 만들어 주위 담에는 4개의 문을 냈다. 그리고 단 남쪽에는 다시 높이 1장 2척 창호방(窓戶方)의 요단(燎壇)을 쌓았고 신주(神廚)와 재궁(齋宮)을 지어 면모를 새롭게 하였다.

세조 때에 환구단을 쌓게 하였다는 기록이 보이나,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환구단의 명칭이 보이지 않는다. 이는 천자가 아닌 제후국(諸侯國)의 왕으로서 천제(天祭)를 지냄이 합당하지 않다는 논의 때문이며, 이로 인해 이후 여러 차례 제천단을 폐한 일이 있었다.

그 뒤 고종이 1897년(광무 1) 대한제국의 황제로 즉위하면서 천자가 되었기에 완전한 제천의식(祭天儀式)을 행하게 되었다. 환구단은 1897년(광무 1) 우리나라도 천신(天神)에게 제를 드려야 한다는 의정(議政) 심순택(沈舜澤)의 상소에 따라 영선사(營繕史) 이근명(李根命)지관(地官)을 데리고 지금의 소공동 주2에다 길지(吉地)를 정하고 제단을 쌓게 하였다. 제단이 조성된 이후에고종은 이곳 환구에서 천지에 제를 드리고 황제위(皇帝位)에 오르게 되었다.

이때에 조성된 환구단의 제도를 보면, 황천상제(皇天上帝)의 위(位)는 제1층 북동쪽에서 남향하여 있고 황지기(皇地祇)의 위는 북서쪽에서 남향하였다. 제2층 동쪽에는 대명(大明), 서쪽에는 야명(夜明)의 위가 봉안되었으며, 제3층 동쪽에는 북두칠성(北斗七星) · 오성(五星) · 이십팔수(二十八宿) · 오악(五嶽) · 사해(四海) · 명산(名山) · 성황(城隍)의 위와 서쪽에는 운사(雲師) · 우사(雨師) · 풍백(風伯) · 뇌사(雷師) · 오진(五鎭) · 사독(四瀆) · 대천(大川) · 사토(司土)의 위가 모셔졌다. 그리고 제를 올릴 때 영신궁가(迎神宮架)에는 중화(中和)의 악, 진찬궁가(進饌宮架)에는 응화(凝和)의 악 등, 여러 주악이 의식에 따라 연주되었다.

그 뒤 1899년(광무 3)환구의 북쪽에 황궁우(皇穹宇)를 건립하고 신위판(神位板)을 봉안하면서 태조를 추존하여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로 삼고, 환구 황지기 위의 동남에 배천(配天)하였다. 환구단은 조선철도호텔이 건립되기 전 1913년 헐렸는데 지금은 조선호텔 부지 내 위치하고 있다. 환구단의 정문은 현재의 조선호텔 건설로 철거되었으나 2009년 서울광장방향에 복원되었다. 화강암 기단 위에 세워진 3층 팔각정의 황궁우는 지금도 남아 있다. 기단 위에는 돌난간이 둘러져 있고 1 · 2층은 통층(通層)인데, 중앙에 태조의 신위가 있다. 3층은 각 면에 3개의 창을 냈다. 건물의 양식은 익공계(翼工系)인데, 청나라 영향을 받은 장식이 많다. 황궁우 옆에는 제천을 위한 악기를 상징한 듯 3개의 석고(石鼓)가 있는데, 몸통에 조각된 용문(龍文)이 화려하다.

제천단의 또 한 예로 강화도 마니산 정상에 자리잡은 참성단(塹星壇)을 들 수 있겠는데, 이는 단군이 제천을 위하여 쌓았다고 구전되어 온다. 밑부분은 둥글며(지름 4.5m), 윗부분은 정방형(한 변이 2m)으로 전체 높이는 6m이고 동서에 단으로 오르는 계단이 있다. 1639년(인조 17)과 1700년(숙종 26)에 중수하였고 매년 음력 1월과 9월에 제사를 올렸다 하며, 요즈음에는 전국체육대회의 성화가 이곳에서 채화된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서울건축 가이드북』(서울특별시, 2013)
『서울의 문화재』(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경인문화사, 2011)
문화재청(www.cha.go.kr)
주석
주1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 때의 ≪여씨춘추전(呂氏春秋傳)≫에 나오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2

묏자리나 집터 따위가 해방(亥方)을 등지고 사방(巳方)을 바라보는 방향. 또는 그렇게 앉은 자리. 북북서를 등지고 남남동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장경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