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밀과 ()

목차
관련 정보
회갑 상차림
회갑 상차림
식생활
개념
밀가루를 꿀 · 참기름으로 반죽하여 식물성 기름에 지져 꿀에 담가 두었다가 먹는 과자.
목차
정의
밀가루를 꿀 · 참기름으로 반죽하여 식물성 기름에 지져 꿀에 담가 두었다가 먹는 과자.
내용

『명물기략(名物紀略)』에 의하면 유밀과는 본디 제사에 과실 대신 쓰기 위하여 밀가루와 꿀을 반죽하여, 대추 · 밤 · 배 · 감과 같은 과실 모양으로 만들어서 기름에 지진 가과(假果 : 헛열매)라 한다. 유밀과가 언제부터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고려시대에는 극히 성행하였고 원나라에까지 유명하였다. 1296년(충렬왕 22)에 왕이 세자의 혼례식에 참석하기 위하여 원나라에 갈 때에 유밀과를 가져가서 잔치에 차렸더니 입속에서 슬슬 녹는 듯하다고 하여 칭송이 대단하였다고 한다. 이와 같이 고려에서 유밀과가 발달한 것은 불교와 관계가 깊다. 불교에서는 살생을 금하고 있으므로 제사에 어육(魚肉)을 피하고 유밀과를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유밀과는 제사뿐 아니라 연등회 · 팔관회와 같은 연회와 공사 연회와 재연(齋宴; 법회와 잔치), 왕의 행차 · 혼례 등에까지 쓰이게 되었다. 그 결과 곡물 · 꿀 · 기름 등의 소비가 많아져 물가가 오르고, 민생이 어려워지는 부작용을 빚기도 하였다. 따라서 유밀과의 사용을 금지하는 금령도 여러 차례 있었다. 『고려사』 「형법(刑法)」 금령에 의하면 1192년(명종 22)에 유밀과 대신 나무열매를 쓰도록 하는 영이 내려졌으며, 1353년(공민왕 2)에도 유밀과의 사용금지령이 내려졌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주1정책의 결과로 어육과 주2이 늘었으나, 여전히 유밀과는 중요한 주3으로 사용되었다.

유밀과는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이 있다. 모지고 크게 만든 것은 모약과, 다식판에 박은 것은 다식과, 만두 모양으로 만든 것은 만두과, 약과판에 박은 것은 약과라 하며, 이밖에 대약과 · 소약과 · 매자과 · 차수과 · 연약과 · 요화과 · 채소과 등이 있다. 이들은 용도에 따라 각기 쓰였다. 주4에는 대약과, 반과상(飯果床)이나 다과상에는 크기가 작은 다식과가 쓰였다. 대약과를 높이 고배한 위에는 만두과가 웃기로 놓였다. 또, 소약과 · 다식과 · 만두과는 평상시에 쓰였고, 제상에는 모약과가 쓰였다.

참고문헌

『고려이전한국식생활사연구』(이성우, 향문사, 1978)
주석
주1

불교를 억제하고 유교를 숭상함. 우리말샘

주2

제사 때 올리는 밥. 우리말샘

주3

여러 가지 과자. 우리말샘

주4

혼례, 회갑, 희년, 회혼례를 축하하는 상차림.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