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 ()

사명대사 영정
사명대사 영정
불교
인물
조선시대 청허 휴정의 제자이자 사명파의 조사로서 임진왜란 때 의승군을 이끈 승장.
이칭
사명(四溟), 송운(松雲), 종봉(鍾峯)
이환(離幻)
별명
사명대사
시호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44년(중종 39)
사망 연도
1610년(광해군 2)
본관
풍천 임씨
출생지
경상도 밀양
주요 저서
사명당대사집(四溟堂大師集)|분충서난록(奮忠紓難錄)
주요 작품
사명당대사집|분충서난록
관련 사건
임진왜란
내용 요약

유정은 조선시대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제자이자 사명파의 조사로서 임진왜란 때 의승군을 이끈 승장이다. 승과 합격 후 휴정의 법을 이었고 임진왜란 당시 강원도에서 의승군을 일으킨 후 도총섭으로서 전투, 산성 수축, 군량 조달 등을 지휘했다. 전후에 왕명으로 일본에 가서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를 만나 화친 방안을 논의했다. 선과 교에 모두 정통했으며 『사명당대사집(四溟堂大師集)』을 남긴 조선시대 불교의 대표적 고승이다.

정의
조선시대 청허 휴정의 제자이자 사명파의 조사로서 임진왜란 때 의승군을 이끈 승장.
가계 및 인적 사항

법명은 유정(惟政), 는 사명(四溟) 또는 송운(松雲), 주1는 종봉(鍾峯)이고 는 이환(離幻)이다. 경상도 밀양 출신으로 본관은 풍천 임(任), 속명은 응규(應奎)이며, 아버지는 수성(守成)이다.

주요 활동

7세를 전후하여 『사략』을 배우고 13세 때 황여헌(黃汝獻)에게 『맹자』를 배웠다. 1558년(명종 13)에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이어 다음 해 아버지가 세상을 뜨자 김천 직지사(直指寺)에서 신묵(信默)에게 출가했다. 1561년에 승과(僧科)에 합격하고 박순(朴淳), 임제(林悌)유생들과 교유했으며, 재상노수신(盧守愼)으로부터 『노자』, 『장자』, 『열자』 등과 시를 배웠다. 그 뒤 직지사의 주지를 지냈다. 1575년(선조 8)에 선종(禪宗) 본사였던 봉은사(奉恩寺)의 주지로 천거되었으나 사양하고, 청허 휴정(淸虛休靜, 1520-1604)을 찾아가 배우고 을 이어받았다.

1578년부터 팔공산 · 금강산 · 청량산 · 태백산 등을 다니며 수행에 전념했고, 1586년 옥천산 상동암(上東庵)에서 깨달음을 얻었다. 1589년에 정여립(鄭汝立)의 역모 사건에 연류되었다는 모함을 받았으나, 무죄로 판명되어 석방되었다. 1592년(선조 25)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금강산에 있었는데 유점사(楡岾寺)에 온 일본군의 횡포를 막고 승려를 무사히 지켜냈다.

같은 해 7월 휴정이 평안도 순안 법흥사(法興寺)에서 전국에 격문을 보내자 유정은 강원도에서 800여 명의 승군을 일으켰다. 5,000명이 넘게 모인 전국의 의승군은 다음 해 평양성주7 전투 등에 참전해 평양과 서울을 수복하는 데 큰 전공을 세웠다. 유정은 연로한 스승 휴정을 대신해 8도 도총섭에 임명된 후 전체 의승군을 이끌었고, 군량 보급, 각지의 산성 축조와 수호 등의 중책도 맡았다. 특히 일본군과의 강화 교섭 과정에서 울산에 있던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8]와 네 차례나 만나 적의 정세와 강화 조약 내용을 탐문하고 「토적보민사소(討賊保民事疏)」와 같은 대비책을 올리기도 했다. 당시 가토가 “조선에 보배가 있는가?”라고 묻자 유정은 “당신의 머리가 우리나라의 보배이다.”라고 답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유정이 승군을 통솔하여 수축한 산성만 해도 팔공산성(八公山城) · 금오산성(金烏山城) · 용기산성(龍起山城) · 악견산성(岳堅山城) · 이숭산성(李崇山城, 또는 美崇山城) 등이며, 군기 제조에도 힘을 기울여 활촉 등의 무기를 만들었고, 투항한 일본군의 조총병을 비변사에 인도하여 화약 제조법과 조총 사용법을 전수하게 했다.

또 1594년 경상도 의령에 있을 때는 군량을 마련하기 위해 사찰의 전답에 주4를 심게 했고, 산성 주위를 개간하여 군량미 4,000여 석을 모았다. 1604년에는 일본에 탐적사로 파견되어, 에도 막부를 세운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5]와 회담을 갖고 포로 주6, 국교 재개 등 전후 처리와 외교 문제를 논의했다. 이때 원래는 휴정의 주2을 듣고 묘향산으로 가던 중, 선조의 명으로 일본에 가서 외교 활동을 펼치게 된 것으로 다음 해 4월에 귀국하여 10월에 묘향산에 가서 스승의 주9에 절했다. 만년에는 주10에 주석하다가 1610년 8월 26일 설법하고 주3 채 입적했다.

저술과 법맥

과 교에 모두 정통했던 사명 유정은 저서로 문집『사명당대사집』 7권을 남겼고, 후대에 그와 관련된 기문을 모은 『분충서난록(奮忠紓難錄)』 1권이 간행되었다.

유정의 문하에서 3파가 나왔지만 적전 제자는 송월 응상(松月應祥, 1572∼1645)이었다. 응상의 법을 이은 허백 명조(虛白明照, 1593∼1661)는 조사 유정을 이어 정묘호란 때 팔도 승병 대장으로 평안도 안주에서 4천의 승군을 이끌었고 병자호란 때는 군량 보급을 담당했다. 이처럼 당대 불교계를 대표하는 유정의 위상으로 인해 사명파는 17세기까지 청허계의 주류 문파로서 권위를 이어갈 수 있었다.

상훈과 추모

도총섭을 역임한 유정의 공은 선조에게 높이 평가되어 임진왜란 당시 정삼품 당상관 주11를 제수받았고 시호는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이다. 입적 후 해인사 홍제암(弘濟庵) 옆에 탑과 가 세워졌고, 뒤에 건봉사(乾鳳寺)에도 비가 건립되었다.

18세기 이후에는 국가 공인 사액 사우인 밀양과 해남 표충사(表忠祠), 묘향산 수충사(酬忠祠)에서 공식 제향되었다. 1997년 사명당기념사업회가 발족하여 학술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사명당대사집(四溟堂大師集)』
『분충서난록(奮忠紓難錄)』
『동사열전(東師列傳)』

단행본

사명당기념사업회, 『사명당 유정 : 그 인간과 사상과 활동』(지식산업사, 2000)
『한국고승비문총집-조선조·근현대』(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논문

김용태, 「조선후기 사명대사 인식의 생성과 대중적 확산」(『동아시아불교문화』 36,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오경후, 「조선중후기 선교학과 사명 유정이 교학관」(『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81,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주석
주1

본명이나 자 이외에 쓰는 이름. 허물없이 쓰기 위하여 지은 이름이다. 우리말샘

주2

사람이 죽었다는 것을 알리는 말이나 글. 우리말샘

주3

부처의 좌법(坐法)으로, 좌선할 때 양발을 각각 반대편 넓적다리 위에 얹어 놓고 앉는 자세이다.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 위에 얹은 다음 왼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얹는 방법을 ‘항마좌’라 하고, 그 반대 방법을 ‘길상좌’라 한다. 항마좌에서는 왼손을 오른손 위에, 길상좌에서는 오른손을 왼손 위에 겹쳐서 배꼽 밑에 편안히 놓는다. 우리말샘

주4

이른 봄에 씨를 뿌려 첫여름에 거두는 보리. 우리말샘

주5

일본의 에도 막부의 초대 쇼군(1543~1616). 처음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밑에 있었으나 그가 죽은 뒤 도요토미 일족을 멸하고 전국(戰國)을 제패하여 에도 막부를 세웠다. 우리말샘

주6

조선 시대에, 외국에서 유랑하는 동포를 데리고 돌아오던 일. 우리말샘

주7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에 있는 성. 임진왜란 때 권율 장군이 왜적을 크게 물리쳤던 전쟁터이며, 이를 기념하기 위한 대첩비와 충장사가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고양 행주산성’이다. 우리말샘

주8

일본의 무장(1562~1611).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선봉으로 종군하였다. 우리말샘

주9

신이나 죽은 사람의 영혼을 모셔 놓은 자리의 앞. 우리말샘

주10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에 있는 절. 신라 애장왕 3년(802)에 순응, 이정 두 대사가 세웠다. 수다라전(修多羅殿), 법보전(法寶殿)에 8만 1258매의 대장경 경판을 소장하고 있다. 지금의 건물은 조선 후기에 중건한 것이다. 현재 대한 불교 조계종 제12교구 본사로 되어 있다. 우리말샘

주11

조선 시대에, 중추원에 속한 정삼품 무관의 벼슬. 태종 때 인진사를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용태(동국대학교 교수, 지역불교 및 불교사 연구(조선시대 불교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