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 명재고택 ( )

목차
관련 정보
논산 명재고택 전경
논산 명재고택 전경
주생활
유적
문화재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에 있는 조선후기 학자 명재 윤증 관련 주택. 국가민속문화재.
이칭
이칭
윤증선생고택, 윤증고택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재(1984년 12월 24일 지정)
소재지
충남 논산시 노성면 노성산성길 50 (교촌리)
목차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에 있는 조선후기 학자 명재 윤증 관련 주택. 국가민속문화재.
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조선 숙종 때의 학자인 윤증이 건축하였다고 하나 후대에 개수 등이 있었던 듯 현존건물은 19세기 중엽의 건축양식을 보이고 있다.

이 고택은 파평윤씨(坡平尹氏)들의 세거지인 옛 이산현에 있는 이산(尼山)을 배산(背山)하여 인접한 노성향교(魯城鄕校)와 나란히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집 앞에는 비교적 넓은 바깥마당이 펼쳐져 있고, 그 앞에 인공 방지(方池)를 파고 조그마한 주1을 조성한 훌륭한 정원이 꾸며져 있다.

정원에서 4단석계의 축대를 오르면 오른쪽에 앞으로 돌출한 사랑채가 있다. 그 뒤로 연접하여 사랑채 후면에서 1칸 물려 왼쪽으로 一자형의 중문간채가 자리잡고 있다. ㄇ형의 안채는 북쪽으로 중문간채와 1칸 떨어져 있어 튼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또, 안채의 서익(西翼) 바깥쪽에 광채가 있다. 기와를 얹은 맞담이 중문간채 좌우로 뻗어서 이 광채를 포함한 안채의 양측을 둘러쌌고 배후는 야산이 막아섰다. 따라서, 전체적인 배치는 튼口자의 안채에 독립된 사랑채가 접합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안채는 중앙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넓은 주2이 있다. 그 왼쪽으로 2칸 윗방, 2칸 안방을 두고, 오른쪽에는 2칸 건넌방, 1칸 마루방이 배치되어 있다. 좌측의 안방 전면에 4칸의 넓은 부엌을 돌출시켰고, 우측의 마루방 앞으로는 2칸 안사랑방과 1칸 작은부엌을 달아내었다.

대청 좌우익의 각 방들은 주3나 마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대청의 배면은 심벽으로 처리하고 쌍여닫이 골판문을 설치하여 놓았다.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중앙에 전퇴를 둔 2칸의 사랑방이 놓이고 그 오른쪽에 대청이 배치되었다. 사랑방 좌측에는 1칸 마루방과 하부에 부엌을 둔 작은사랑방이 배치되어 있다. 사랑방 뒤퇴에는 드나드는 입시에 작은마루방이 배설되어 사랑방과 연결되며, 작은사랑방의 뒷방과도 통하도록 되어 있다.

중문간채는 정면 5칸, 측면 1칸으로 좌측 두 번째 칸에 중문을 내고 안채가 바로 보이지 않게 1칸 돌아 들어가게 하였다. 안채는 회반죽으로 마감한 자연석 허튼층 주4를 한 기단 위에 화강암 덤벙초석을 놓고 모두 방주(方柱)를 세웠다. 주상에는 주5 없이 주6주7만 있는 민도리집이다.

대청 · 상부가구는 5량가로 주8 없이 주9의 장여를 주10 위에 끼워 걸쳐놓은 간소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종량 위에 제형판대공을 세워 주11을 올려놓고 그 위에 주12를 놓아 장여와 주13를 받고 있다.

사랑채는 5량가로 안채의 구조기법과 유사하다. 다만, 화강암바른층쌓기 한 기단과 네모뿔의 화강암정평초석을 사용한 것이 다르다. 이 집은 모든 부재의 마감이 치밀하고 구조가 간결하면서 견실하여 아름다운 외관과 함께 신선한 맛을 풍기는 조선후기 주택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참고문헌

『문화유적총람 -충청도-』(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편 상-』(문화재관리국, 1985)
『한국의 건축 -전통건축편-』(김봉렬, 공간사, 1985)
주석
주1

정원 따위에 돌을 모아 쌓아서 조그마하게 만든 산. 우리말샘

주2

한옥에서, 몸채의 방과 방 사이에 있는 큰 마루. 우리말샘

주3

툇간에 놓은 마루. 우리말샘

주4

크기가 다른 돌을 줄눈을 맞추지 아니하고 불규칙하게 쌓는 일. 우리말샘

주5

기둥 위를 장식하며 공포를 받치는 넓적하고 네모진 나무. 우리말샘

주6

서까래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 위에 건너지르는 나무. 우리말샘

주7

도리 밑에서 도리를 받치고 있는 길고 모진 나무. 우리말샘

주8

들보 위에 세우는 짧은 기둥. 상량(上樑), 오량(五樑), 칠량(七樑) 따위를 받치고 있다. 우리말샘

주9

동자기둥에 얹어서 서까래나 지붕널을 받치는 가로재. 우리말샘

주10

작은 들보의 하중을 받기 위하여 기둥과 기둥 사이에 건너지른 큰 들보. 우리말샘

주11

용마루나 중도리 밑에 있는 대공 또는 동자기둥에 건너지른 창방. 우리말샘

주12

두공, 첨차, 한대, 제공, 장여, 화반 따위를 받치는 네모진 나무. 우리말샘

주13

용마루 밑에 서까래가 걸리게 된 도리. 우리말샘

집필자
김일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