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효손 ()

구례 윤문효공 묘전석등 및 석비
구례 윤문효공 묘전석등 및 석비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형조판서, 우참찬, 좌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유경(有慶)
추계(楸溪)
시호
문효(文孝)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31년(세종 13)
사망 연도
1503년(연산군 9)
본관
남원(南原)
주요 관직
성균관저작|우헌납|의정부사인|호조참의|경상도관찰사|대사헌|나주목사|형조판서|우참찬|좌참찬
정의
조선 전기에, 형조판서, 우참찬, 좌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유경(有慶), 호는 추계(楸溪). 윤언재(尹彦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사감무(長沙監務) 윤희(尹希)이다. 아버지는 지순창군사(知淳昌郡事) 윤처관(尹處寬)이며, 어머니는 감찰 정존(鄭存)의 딸이다. 관찰사 윤지형(尹止衡)의 아버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53년(단종 1)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권지승문원부정자에 보임되고, 1455년(세조 1) 성균관저작이 되어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1457년 중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우헌납과 예조정랑을 거쳐 의정부사인이 되었는데, 어버이 병 때문에 사직하자 장흥부사로 임명되었다.

1469년(예종 1) 훈련원부정 당시 시정의 폐단을 간하다가 도리어 옥에 갇혔으나 곧 석방되었다. 1472년(성종 3) 통례원좌통례(通禮院左通禮)로 옮겼고 좌리원종공신(佐理原從功臣)에 녹훈되었다. 그 때 『경국대전』·『오례의주(五禮儀註)』를 수찬했으며, 전사고(典祀庫) 설치를 주도하기도 하였다.

1473년 호조참의·예조참의를 역임하고, 전주부윤에 제수되어 토질에 따라 등급을 매길 것을 건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나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이 포상을 청하자, 성종은 감탄해 당(唐)나라 옷감을 하사하였다. 1476년 공조참의로 승진되고, 이듬해 형조참판으로 옮겨졌다가 곧 경상도관찰사로 전직되었다.

1478년 한성좌윤·한성우윤을 거쳐 경상도감사를 역임하고 대사헌이 되었다. 그러나 감사로 있을 때 부정사건으로 한 자급(資級) 강등되어 동지중추부사로 좌천되었다. 1486년 나주목사를 거쳐, 3년 후에 동지중추부사에 세자우빈객(世子右賓客)을 겸하였다.

1490년 정조사(正朝使)로 명나라에 다녀오면서 『활민대략(活民大略)』·『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등의 책과 조맹부(趙孟頫)의 족자(簇子) 1첩을 가지고 왔다. 또, 문묘의 찬탁(饌卓)을 창설하고, 세자의 관(冠)과 도포의 제도를 정하였다.

그 뒤 황해도관찰사를 역임했으며, 1493년 형조판서를 거쳐 우참찬에 임명되었다. 1494년 빈전도감제조(殯殿都監提調)와 수찬(修撰)을 지냈다.

1498년(연산군 4) 김일손(金馹孫)의 사초(史草)를 봤다는 이유로 파면되었다가 이듬해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으나, 병을 이유로 사직하였다. 1500년 도총부도총관, 이듬해 좌참찬을 거쳐 뒤에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올랐다. 남원의 방산서원(方山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참고문헌

『단종실록(端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예종실록(睿宗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국조방목(國朝榜目)』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이락정집(二樂亭集)』
『허백정집(虛白亭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해동잡록(海東雜錄)』
『대동기문(大東奇聞)』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서병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