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문문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하여 그 해답을 요구하는 문장유형.
내용 요약

의문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하여 그 해답을 요구하는 문장유형이다. 의문문에는 의문형의 어말어미가 사용되며 대체로 문장의 뒤가 상승하는 의문수행 억양을 가진다. 의문형 어말어미가 붙지 않더라도 의문수행 억양이 얹히면 의문문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의문문은 청자의 답변을 요구하는 직접의문과 그렇지 않은 간접의문으로 나뉘며, 답변의 유형에 따라 ‘예·아니오’로 답변하는 판정의문과 설명을 요구하는 설명의문으로 나뉜다. 화자가 이미 알고 있는 사항을 확인하는 수사적 의문문, 명령·권유를 나타내는 명령적 의문문, 감탄적 의문문으로 나누기도 한다.

목차
정의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하여 그 해답을 요구하는 문장유형.
내용

단순한 서술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점에서 평서문이나 감탄문과 다르고, 어떠한 행동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명령문이나 청유문과 다르다.

의문문은 의문형의 어말어미와 의문수행억양 등을 통하여 표시된다. 의문형의 어말어미로는 주1의 ‘-(으)냐, -니, -(으)ㄹ까’ 등과 주2의 ‘-(으)ㄴ가, -나’, 주3의 ‘-ㅂ니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어미에 시제와 양상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가 붙은 ‘-느냐, -더냐, -는가, -던가, -ㅂ디까, -오리까’ 등등의 여러 형식이 의문문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의문형의 어말어미가 사용되어 의문문이 된 문장들은 또한 의문 수행의 특별한 억양을 가지고 실현되는데, 대체적으로 말하여 문장의 뒤가 상승하는 특징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 의문수행억양은 의문문을 성립시키는 데 있어서 의문형 어말어미에 못지 않은 중요한 구실을 한다.

이는 의문형의 어말어미가 붙지 않는 문장이라고 하더라도 의문수행억양이 얹히게 되면, 그 문장이 의문문으로 사용된다는 데에서 쉽게 확인된다. 가령 하오체의 ‘-오’나 비격식체의 어말어미 ‘-어, -지’, 심지어는 여러 어미들이 의문수행억양에 의하여 의문문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의문문은 우선 청자의 답변을 요구하는 직접의문과 청자의 답변을 요구하지 않는 간접의문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답변의 유형에 따라 주4주5으로 나누는데, 판정의문은 ‘예’와 같은 긍정이나 ‘아니오’ 같은 부정으로 답변할 수 있는 의문문이며, 설명의문은 의문사가 들어 있어 그것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의문문이다.

설명의문문에 나타나는 주6란 ‘누구, 무엇, 왜, 언제, 얼마나, 어디’ 등과 같이 미지의 항목을 나타내는 낱말을 의미한다. 설명의문문에 사용되는 의문수행억양은 그 끝이 하강한다는 특징을 가지며, 의문사에는 의문의 초점이 놓이게 된다. 만약 의문사에 초점이 놓이지 않게 되면 의문사가 들어 있는 의문문이라 하더라도 판정의문문으로 해석되며, 이 경우의 의문사는 미정사로 해석된다.

이밖에 의문문은 수사적 의문문, 명령적 의문문, 감탄적 의문문 등으로 나누어진다. 수사적 의문문은 형식상으로는 의문문이나 내용상으로는 직접 답변을 요구하지 않고 화자가 이미 알고 있는 사항을 확인하는 의문문이다. 이 의문문은 강한 긍정의 수사적 효과를 거두게 되는데, 때에 따라서는 강한 부정의 효과도 거두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수사적 의문문을 주9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그 당시의 고초를 어찌 다 헤아릴 수 있겠습니까?”라는 문장은 의문의 형식이 사용되었으나, 화자가 미지의 사항을 청자에게 질문하여 청자로 하여금 그 미지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얻으려는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화자가 이미 알고 있는 사항을 의문문의 형식을 사용하여 강조,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다. 이 수사적 의문문의 경우는 물음표(?) 대신에 마침표(. )를 사용하기도 한다.

명령적 의문문은 그 형식은 의문문이나 내용상으로는 청자에 대한 명령이나 권고를 나타내는 문장이다. 예를 들어 “왜 빨리 집에 가지 않느냐?”라는 문장은 그 형식상으로는 ‘집에 빨리 가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물어보는 설명의문문이지만, 그 내용상으로는 ‘빨리 집에 가라’는 명령을 담고 있는 명령적 의문문이다.

마지막으로 감탄적 의문문은 그 형식은 의문문이지만, 내용상으로는 문장에서 진술된 내용에 대한 감탄을 나타내는 의문문이다. 예를 들어 “그렇게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와 같은 의문문은 ‘매우 좋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감탄적 의문문이다. 이 감탄적 의문문의 경우는 물음표 대신에 느낌표(!)를 사용하기도 한다.

의문문이 간접인용될 때에는 청자경어법상의 모든 등급이 없어지고, ‘-느냐’에 의한 형식만이 나타난다. 예컨대, 하십시오체의 “철수가 집에 갔습니까?”와 같은 문장이 간접인용되면, “영희가 선생님께 철수가 집에 갔느냐고 여쭈어보았다.”와 같이 해라체의 ‘-느냐’ 형식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현상은 국어의 청자경어법 표시 형태소 ‘-이-’가 모문에만 나타나야 한다는 제약과 관련된 현상인 듯하다.

또한, 의문문은 “영희가 어디 갔는가가 궁금하다. ”에서 보듯이, 주7의 도움이 없이 그 자체로 주8이 되어 안기기도 한다. 이러한 특징은 국어의 의문문이 근본적으로 명사절의 형식을 가진다는 것과 관련된 듯하다. 옛말에서의 국어의 의문문은 판정의문형식으로 ‘-(으)ㄴ/ㅭ가’, 설명의문형식으로 ‘-(으)ㄴ/ㅭ고’가 변별되어 쓰이고, 또한 2인칭을 주어로 가지는 의문문의 형식으로 ‘-(으)ㄴ/ㅭ다’가 사용되었다. 이들 형식에서 우리는 의문문의 형식적인 성립요소로 동명사어미 ‘-(으)ㄴ, -(으)ㄹ’을 취하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징이 앞서와 같이 의문문 그 자체를 명사절로 안기게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국어문법체계의 사적연구』(이승욱, 일조각, 1973)
『국어문법론』(이익섭·임홍빈, 학연사, 1983)
『표준국어문법론』(남기심·고영근, 탑출판사, 1985)
『고등국어문법』(임홍빈, 교학사, 1986)
『국어의문문연구』(서정목, 탑출판사, 1987)
「후기중세국어의 의문법에 대하여(안병희, 『학술지』 6, 건국대학교, 1965)
「의문문의 이접적 특성」(김영희, 『문법연구』 2, 문법연구회, 1975)
「현대국어의 문체법에 대한 연구」(고영근, 『어학연구』 12-1, 서울대학교어학연구소, 1976)
「문법사(文法史)의 몇 문제」(이승욱, 『국어학』 5, 국어학회, 1977)
「국어의 의문법에 대한 통시적 연구」(이현희, 『국어연구』 52, 서울대학교국어연구회, 1982)
「국어 의문문에 대한 통사적 연구」(이영민, 『한국어연구』 18, 서강대학교한국어연구회, 1989)
주석
주1

상대 높임법의 하나. 상대편을 아주 낮추는 종결형으로, ‘철수야, 빨리 자라. 내일 새벽에 운동해야 한다.’ 따위이다.    우리말샘

주2

상대 높임법의 하나. 보통으로 낮추면서 약간 대우하여 주는 종결형으로, 어느 정도 나이가 든 화자가 나이가 든 손아랫사람이나 같은 연배의 친숙한 사이에 쓴다. ‘김 군. 이것 좀 연구해 보게. 혼자 할 수 있겠나?’ 따위이다.    우리말샘

주3

상대 높임법의 하나. 상대편을 아주 높이는 종결형으로, ‘안녕히 계십시오.’, ‘정말 오래간만입니다.’, ‘반갑습니다.’ 하는 따위이다.    우리말샘

주4

‘예’ 또는 ‘아니오’로 대답할 수 있는 의문.    우리말샘

주5

화자가 청자에게 모르는 내용에 대해 설명해 줄 것을 요청하는 의문. 문장에 ‘누구’, ‘무엇’, ‘왜’, ‘어디’, ‘언제’ 따위의 의문사가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6

의문의 초점이 되는 사물이나 사태를 지시하는 말. ‘누구’, ‘언제’, ‘어디’, ‘무엇’, ‘왜’, ‘어떻게’, ‘얼마’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7

문장에서 용언의 어간에 붙어 명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어미. ‘-음’, ‘-기’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8

명사 구실을 하는 절. ‘철수가 그 어려운 일을 해냈음이 분명하다.’에서 ‘철수가 그 어려운 일을 해냈음’ 따위이다.    우리말샘

주9

문장의 형식은 물음을 나타내나 답변을 요구하지 아니하고 강한 긍정 진술과 강한 부정 진술을 내포하고 있는 의문문. 예를 들어 “철수한테 책 한 권 못 사 줄까?”의 ‘못 사 줄까’는 ‘사 줄 수 있다’는 강한 긍정을 나타내며, “공든 탑이 무너지랴?”의 ‘무너지랴’는 ‘무너지지 않는다’는 강한 부정을 나타낸다.    우리말샘

집필자
한동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