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재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오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6년에 중간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오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6년에 중간한 시문집.
내용

2권 2책. 목활자본. 영조조에 처음 간행되고, 그 뒤 1846년(헌종 12)에 5대손 훈(壎)과 9대손 제국(濟國)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전주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두에 기정진(奇正鎭)의 서문과 박인환(朴仁煥)의 후서, 황경원(黃景源)·오대익(吳大益)의 구서(舊序)가 있다. 권말에는 정덕주(丁德輖)의 부록, 홍봉주(洪鳳周)의 제사(題辭), 오훈·오제국·오두영(吳斗泳)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 88수, 권2는 시 48수, 책문(策文)·논(論)·서의(書義) 각 1편, 부록으로 연보, 김인후(金麟厚)의 증별시(贈別詩) 2수, 그 밖에 후학들이 차운한 시 4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격률이 높고 사기(詞氣)가 깊고 길지만 꾸밈이 없고 자연스러운 품이 당시의 풍을 간직하였다.

작품 가운데 「영남수의행도낙동강유감(嶺南繡衣行到洛東江有感)」은 암행어사가 되어 영남에 갔다가 국기일(國忌日)인데도 그 곳 수령이 풍악을 즐기고 음주하는 것을 보고 풍자한 시이다.

책문은 학교를 일으켜야 도학(道學)이 서고 도학이 서야 인재가 많이 나온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논은 무왕(武王)의 정사를 논한 것이다.

무왕이 악정을 간하다 죽으면서도 후회하지 않은 비간(比干)의 정려(旌閭)를 세워주고, 거짓으로 미친 체하면서도 욕되지 않은 기자(箕子)는 봉묘(封墓)를 해주었으면서 이들보다 공이 더 큰 백이(伯夷)·숙제(叔齊)는 기리지 않았음을 말하였다.

서의는 『서경』의 신종우시(愼終于始)에 대한 경학적 해석을 한 것으로, 그 내용은 간략하면서도 명쾌하다.

집필자
김성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