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전 ()

목차
관련 정보
민속·인류
의례·행사
편을 갈라 모의로 싸움을 하여 그 승부로 한 해의 풍흉을 점치는 민속놀이를 지칭하는 용어. 민속놀이.
목차
정의
편을 갈라 모의로 싸움을 하여 그 승부로 한 해의 풍흉을 점치는 민속놀이를 지칭하는 용어. 민속놀이.
내용

우리 나라의 민속놀이 중에는 이와 같이 풍흉을 점치는 요소를 지닌 것이 많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팔매싸움[石戰]·줄다리기[索戰]·동채싸움[車戰]·횃불싸움[炬火戱] 등이 있다.

의전은 우리 나라뿐만 아니라 아시아의 재도문화권(栽稻文化圈)에 공통적으로 분포된 문화요소로, 중국의 줄다리기와 일본의 쓰나비키(綱引)·인지우치(印地打) 등에서 볼 수 있다.

우리 나라의 민속놀이 중 의전적인 요소는 그 역사가 상당히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신라 때 가배절(嘉俳節)의 적마행사(績麻行事)가 원래 의전적인 경합의 성격을 지니다가 후세에는 농촌 부녀자들의 ‘두레삼’ 형태로 변모한 것으로 보이며, 팔매싸움은 고구려시대부터 행해진 것으로, 《수서 隋書》에 기록되어 있다. 기록은 없지만 줄다리기도 이미 6세기에서 9세기에 걸쳐 중국의 후난(湖南)·후베이성(湖北省)에서 성행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역사가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민간에서 행해졌거나 행해지고 있는 의전들은 편을 갈라 싸우는 형식을 취한다. 이를테면 팔매싸움은 보통 나이 어린 소년·소녀들이 강을 경계로 삼아 돌을 던지는 싸움으로, 밀리는 쪽이 지게 된다. 그리고 줄다리기는 동과 서, 또는 상과 하로 편을 갈라 줄을 당겨서 끌려가는 쪽이 지게 된다. 동채싸움은 편을 갈라서 동채를 만든 다음, 그 위에 한 사람을 태우고 메고 나가, 위에 탄 사람을 서로 끄집어내리는 싸움인데, 먼저 떨어지는 쪽이 진다.

이와 같이 싸움을 벌여서 승부의 결과에 따라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데, 줄다리기와 같이 동서 또는 남녀 두 편으로 편을 갈라서 싸우는 형식을 취하는 의전은 서편, 즉 여성 편이 이겨야 그 해 풍년이 든다고 믿는다. 그래서 싸움을 하다가 결국에 가서는 동편, 즉 남성 편이 일부러 져 주는 경우가 많다.

민속 방위의 관념에서 서쪽은 여성과 음(陰), 달의 상징이고, 동쪽은 남성과 양(陽), 태양의 상징이다. 서쪽, 즉 여성 편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고 믿는 관념은 여성과 물, 달이 상징하는 증식 능력에 대한 유감(類感)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와는 달리 방위 관념이나 성(性)의 상징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둘로 편을 갈라 싸우는 의전은 지는 편에 흉년이 들고 이기는 편에 풍년이 든다고 하여 모의싸움의 성격을 잊고 치열한 다툼을 벌이기도 한다.

의전의 속성을 지닌 민속놀이 중에서 아직까지도 단행되고 있는 것은 횃불싸움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광복을 전후하여 모두 사라지고 말았다. 횃불싸움도 마을의 어린이들이 의식(儀式)을 잊은 채 놀이삼아 하는 것에 불과하다.

폭넓게 분포되어 있던 의전의 민속놀이가 사라진 이유는 승부의 결과에 따라 그 해의 풍요를 간접적으로 점치는 점세행위(占歲行爲)로서의 의전이 미진한 농업기술을 보유했던 시대에는 신앙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었지만, 농업기술의 발달로 그러한 신앙적 의미가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한국농경시의(韓國農耕時) 연구』(김택규,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5)
「한국민속신앙의 생생상징적(生生象徵的) 연구」(김열규, 『아세아문제연구』 9-2, 1967)
「촌락사회의 줄다리기연구」(이장섭,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영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