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면승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형조판서, 우참찬, 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계래(季來)
시호
문헌(文獻)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66년(영조 42)
사망 연도
1835년(헌종 1)
본관
전주(全州)
주요 관직
사헌부지평|전라도 암행어사|우부승지|황해도관찰사|대사간|형조판서|우참찬|에문관제학
정의
조선 후기에, 형조판서, 우참찬, 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계래(季來). 이진우(李眞遇)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광보(李匡輔)이다. 아버지는 이성순(李性淳)이며, 어머니는 정광익(鄭光益)의 딸이다. 판서 이면긍(李勉兢)의 아우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94년(정조 18) 진사로서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798년 홍문관에서 처음 벼슬을 한 뒤 사헌부지평이 되었다. 1803년(순조 3) 지평으로서 당시 형옥(刑獄)을 비롯한 행정 기강의 해이를 지적하고, 이것이 국체를 손상시키고 백성의 불안을 야기시키는 근본 원인이라 역설하였다. 순조가 이 의견을 받아들여 각 부(府)·조(曹)의 업무 수행을 엄격히 하는 조처가 취해졌다.

1808년 전라도 암행어사로 임명되어 전라도 각 지역 수령들의 업무 수행 상황을 조사, 국가 재정의 핵심적 문제였던 환곡·민고(民庫: 관청의 임시비를 위한 돈·곡식을 저장한 창고)·군정(軍政) 등 지방 행정 업무의 퇴폐상을 극론해, 그 결과 전라도 지역의 환곡에 대한 시정 조처가 내려졌다.

그 뒤 우부승지로 있다가 1811년 황해도 곡산에서 부사 박종신(朴宗臣)이 민중에게 구타당하고 부신(符信: 군대를 동원하는데 쓰이는 나무로 만든 신분패)마저 빼앗기는 변란이 일어나자, 안핵사(安覈使)로 파견되어 변란의 원인이 전곡(錢穀)의 혹심한 징발 등 부사의 혹정에 있었음을 밝히고 민심을 수습하였다.

1815년 2월 황해도관찰사로 임명되어 연안·토산(兔山) 등지의 호구(戶口)와 전결(田結) 상황을 조사하고, 실정에 맞는 합리적인 세정을 주장해 백성의 부담을 경감시켰다. 1818년 이후 대사성·대사간을 역임하고, 1820년 12월 함경도관찰사로 임명되어 환곡의 불균형으로 인한 백성들의 어려움을 시정하려고 노력하였다.

1825년 사헌·형조판서를 거쳤고, 같은 해 11월 동지사로서 부사 이석우(李錫祐), 서장관 박종학(朴宗學) 등을 대동하고 연경(燕京)에 다녀왔다. 1826년 11월 형조판서에 복직한 뒤 이듬 해 우참찬에 임명되었고, 1829년 경상도관찰사로서 환곡의 수송 문제를 다루었다.

그 뒤 이조판서를 거쳐 형조판서가 되었다가, 1833년 업무 처리가 바르지 못하다는 이유로 비변사의 탄핵을 받았으나, 다시 공조판서에 기용되었다. 그 뒤 대사헌·예문관제학을 거쳤고, 1834년 순조가 죽자 산릉도감제조에 임명되어 장례를 처리하던 중 이듬 해 지병으로 산릉역소(山陵役所)에서 죽었다.

순조 시대에 세역제도(稅役制度)의 문란과 각종 재해로 민중들이 곤궁을 겪고 있던 지방 실정을 비교적 밝게 이해해, 당시의 국가 행정과 민중 생활을 기본적으로 규정짓던 세역 문제를 합리화하기 위해 노력한 관료였다. 문장에 능하였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헌종실록(憲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집필자
김진봉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