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벽선생몽회록 (몽회록)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이벽전, 여니벽선생몽회록
내용 요약

「이벽선생몽회록」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실존 인물인 이벽(李檗)을 꿈에서 만나 나눈 대화와 이벽의 생애를 중심 내용으로 다룬 몽유록이다. 천주교 신자였던 이벽과의 대화를 기록한 꿈 이야기 전반부와 이벽의 생애를 기록한 후반부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내용

1책. 국문 필사본. 표제는 ‘새벽젼’으로 되어 있다. 이 작품의 말미에는 “뎡유뎡아오스딩셔우등셔졍이라.”라고 기술되어 있다. 이 기록을 바탕으로 정유년인 1777년(정조 1)에 정약종(丁若鍾)이 창작한 것이라는 설이 있었으나, 작품의 내용을 통해 볼 때 이는 사실이 아니다. 필사 시기는 정유년인 1897년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뎡아오스딩' 역시 정약종이 아닌 정규하 신부라는 주장이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다.

내용은 이벽(李檗)과 정학술(丁學述)의 대화로 전개되고 있다. 갑자기 천지가 혼미해진 가운데 한바탕 상서로운 기운이 비치더니 홀연 괴암상에 마치 신선과 같은 풍채를 지닌 한 선비(이벽)가 나타나 학술에게 대화의 문을 연다. 이벽은 천상선인(天上仙人)으로 지상 세계에 하강하여, 학술에게 우주 창조의 원리, 낙원 추방과 예수의 구원, 주1의 허망함, 조상 제사와 우상 숭배, 신유옥사와 진리의 승리, 하느님의 최후 심판 등을 이야기한다. 말을 마치면서는 『천주밀험기(天主密驗記)』를 전하고 다시 승천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몽유록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벽은 죽고 60년 뒤 1846년 병오 6월 14일의 꿈에 다시 현세에 나타난다. 이는 초기 서학 박해 당시 천진암(天眞庵) · 주어사(走魚寺) 강학회에서의 이벽의 공덕과 그의 죽음이 작자에 의하여 신성화되어, 박해에도 신앙을 강화시킬 것을 당부하는 주인공으로 형상화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천주밀험기』는 천당지옥기, 영득경신기, 험세문득기, 내세예언기가 있는데, 그 중 내세예언기는 천주 심판의 기록으로 누구나 알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기록에는 주2 · 주3 등 50여 년간의 예언적 사건들이 기술되어 있으며, 이벽의 재현을 통하여 새로운 역사가 시작된다고 믿고 있다.

「니벽선ᄉᆡᆼ몽회록」은 초기 서학의 대표적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고, 중니공이 천주교 박해 사건을 예언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믿음을 강조하는 보기 드문 종교 소설의 하나이며, 조선 후기에 민간에서 유행하던 예언서인 『정감록』의 형식이나 문체와 상당한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몽유록이면서 필사자 · 몽중 설화자가 실제 인물이라는 점과 유불도를 부정하는 새로운 서학 사상을 설득하고 있다는 점, 『천주밀험기』라는 예언서를 통하여 천주의 재림을 예언하되, 그것을 이벽의 환생을 통해 실현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적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이 책은 김양선(金良善)의 수장본인데, 1983년 숭전대학교 기독교박물관에 기증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옥희, 『광암이벽의 서학사상』(가톨릭출판사, 1979)

논문

김영수, 「한국 가톨릭 전승의 형상화 방식 - 이벽과 〈여니벽선생몽회록〉을 중심으로 -」(『교회사학』 4, 수원교회사연구소, 2007)
소재영, 「이벽선생몽회록 해제·자료영인」(『숭실어문』 1, 숭실어문학회, 1984)
김옥희, 「유한당 권씨의 언행실록에 관한 연구」(『한국학보』 8-2, 일지사, 1982)
주석
주1

유교와 불교와 도교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조선 순조 원년(1801)인 신유년에 있었던 가톨릭교 박해 사건. 중국에서 세례를 받고 돌아와 전교하던 이승훈(李承薰)을 비롯하여 이가환, 정약종, 권철신, 홍교만(洪敎萬) 등의 남인(南人)에 속한 신자와 중국인 신부 주문모 등이 사형에 처해졌는데, 수렴청정을 하던 정순 왕후(貞純王后)를 배경으로 하는 벽파가 시파와 남인을 탄압하려는 술책에서 나왔다. 우리말샘

주3

조선 헌종 5년(1839)에 두 번째로 가톨릭교도를 학살한 사건. 프랑스 신부 모방, 샤스탕, 앵베르를 비롯하여 70여 명의 교도가 죽임을 당했으며, 이 사건을 계기로 헌종은 척사윤음(斥邪綸音)을 내리고 오가 작통법(五家作統法)을 강화하여 가톨릭교를 탄압하였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