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삼 장군 유물(영정첩·검·철퇴·언월도) ( (···))

목차
관련 정보
이삼 장군 유물 / 영정첩
이삼 장군 유물 / 영정첩
조선시대사
유물
문화재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삼의 유물.
목차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삼의 유물.
개설

1976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삼은 조선 영조 때의 무관으로 본관은 함평이고, 자는 원백이며, 호는 백일헌(白日軒)이다.

주곡리에서 출생하여 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705(숙종 32)년 무과에 올랐다. 힘이 세고 지략이 많으며, 기계 제조법과 도창(刀槍) 기예에 능하였다.

경종때 포도대장으로 공을 세웠고, 1725년(영조 1) 어영대장을 지냈는데 경종 때 죄인을 심문한 사건에 연루되어 이정신(李正臣)과 함께 경남 비양에 귀양갔다. 1727년 훈련대장이 되어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분무공신(奮武功臣) 2등에 책록되고 함은군(咸恩君)에 피봉되었다.

내용

주곡리 고택에 소장된 유물은 다음과 같다. 언월도(偃月刀 ; 길이 191.5cm, 무게 2.9kg)는 ‘龍光射 牛頭星(용광사우두성)’이란 명문이 있다.

철추(鐵槌 ; 길이 62cm, 무게 1.3kg)는 둥근 철구에 자루를 끼웠고 철구에는 철정이 박혀 있다. 영정(影幀 ; 길이 134cm, 폭 64cm)은 문복상과 무복상이 있다. 검(劍)은 길이 70cm, 무게 1.8kg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文化財大觀)』(충청남도, 199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최근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