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원 ()

이시원(李是遠) 글씨
이시원(李是遠) 글씨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이조판서, 예문관제학, 정헌대부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직(子直)
사기(沙磯)
시호
충정(忠貞)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90년(정조 14)
사망 연도
1866년(고종 3)
본관
전주(全州)
정의
조선 후기에, 이조판서, 예문관제학, 정헌대부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직(子直), 호는 사기(沙磯). 정종주1 덕천군(德泉君)의 후손으로, 진사 이면백(李勉伯)의 아들이며, 이건창(李建昌)의 할아버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15년(순조 15) 정시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전적이 되었다. 이듬해 사간원정언이 되었고, 1824년 태천현감이 되어 치적을 쌓았다. 1826년 홍문관교리를 제수받았고, 이듬해에는 지제교에 뽑혔으며, 다시 성균관사성 · 사헌부장령을 거쳐 통례원상례를 제수받았다. 1833년에 경기어사가 되어서는 험한 지역에까지 방방곡곡 두루 다니며 각처의 풍속과 백성의 곤궁을 몸소 살폈다.

헌종 초년에 동부승지에 올랐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그때 마침 춘천부사 자리가 비어, 조정에서 모두 그를 추천했으나 극력 사양하다가 순원왕후(純元王后)의 명으로 할 수 없이 부임하였다. 마침 큰 흉년이 들었는데, 관전(官錢)을 내어 쌀을 팔아 백성들을 급히 구제하였다.

그 뒤 10여 년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다가 1849년(헌종 15)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르고 한성부우윤이 되었다. 이듬해 개성부유수를 제수받았다. 이 때 개성인삼을 가지고 홍삼을 만들어 팔던 당시 역인(驛人)들의 주2 세금 포탈을 엄히 다스렸다.

1852년(철종 3) 승정원좌승지 · 동지경연의금부춘추관사(同知經筵義禁府春秋館事)를 제수받고, 1854년에는 도총부도총관이 되어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올랐다. 이어 형조판서 · 지경연춘추관사가 되었다. 이듬해 함경도관찰사가 되어서는 전병사 이근영(李根永)의 탐학을 탄핵하였다.

1864년(고종 1) 지종정경부사(知宗正卿府事)가 되고 다시 대사헌 · 좌참찬 · 예조판서가 되었으며, 이듬해에는 이조판서 · 홍문관제학 · 예문관제학 · 동지성균관사를 지냈다. 1866년에는 주3정헌대부(正憲大夫)에 올랐다. 이해 가을 이른바 병인양요가 일어나 강화도가 함락되자, 아우 이지원(李止遠)과 함께 유서를 남기고 음독 자결하였다.

저서로는 시문 10권과 고금서초(古今書鈔) 100여권, 『야사초(野史鈔)』 몇 권이 후손의 집에 소장되어 있다 한다. 편서(編書)로는 『정주도회과작(定州都會科作)』 1책이 있다.

상훈과 추모

뒤에 영의정주4되었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참고문헌

『순조실록(純祖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기려수필(騎驢隨筆)』
『대한계년사』(정교, 국사편찬위원회, 1957)
주석
주1

양반과 양민 여성 사이에서 낳은 아들. 우리말샘

주2

예전에, 개성에서 홍삼을 제조하던 곳. 우리말샘

주3

임금의 특별한 명령. 우리말샘

주4

종이품 이상 벼슬아치의 죽은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에게 벼슬을 주던 일.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동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