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언강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한성판윤, 형조판서, 좌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계심(季心)
시호
정효(貞孝)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48년(인조 26)
사망 연도
1716년(숙종 42)
본관
전주(全州)
주요 관직
병조참판|경기도관찰사|형조판서
관련 사건
경신환국|갑술환국
정의
조선 후기에, 한성판윤, 형조판서, 좌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계심(季心). 이양휴(李揚休)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시만(李時萬)이다. 아버지는 이백린(李伯麟)이며, 어머니는 심지한(沈之漢)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78년(숙종 4)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승문원정자로 있으면서 이듬해 중시(重試)에 급제하였다. 1680년 경신환국 때 사간원정언으로 남인들의 공격에 앞장서서 윤휴(尹鑴)·오정위(吳挺緯)·허견(許堅) 등의 처벌을 주장하였다. 이듬해 경상도 암행어사로 민정을 살폈으며, 사헌부지평·홍문관수찬·교리 등 청요직(淸要職: 학식과 문벌이 높은 인물에게 주는 중요한 관직)을 두루 거쳤다.

1682년 통신사를 파견할 때 정사 윤지완(尹趾完)과 함께 부사로서 일본에 다녀왔다. 1685년에는 별차경관(別差京官)으로 평안도에 파견되어 민정을 살폈고, 이듬해 승지에 발탁되었다. 1688년 충청감사가 되었으며, 이듬해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사간 김주(金澍)와 정언 김몽양(金夢陽)의 탄핵으로 관작을 삭탈당하고 귀양갔다.

5년 후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재집권하면서 도승지로 기용되고 병조참판을 역임하였다. 1696년 경기도관찰사가 되어 곡식을 옮겨 백성들을 구제하도록 청했으며, 형조판서를 거쳐 동지사(冬至使)의 정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701년 다시 형조판서가 되었으나, 장희재(張希載) 처의 공초(供招: 신문한 조서) 및 윤순명(尹順命)의 공초 속에 이름이 거론되어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그 뒤 동지의금부사 김연(金演)의 변호로 무고가 밝혀져 재등용되어, 한성판윤을 거쳐 1710년 형조판서가 되었다. 그 뒤 지난날 무고를 당했던 일을 거울삼아 스스로 경계하며 옥송(獄訟)을 잘 처리해 칭송이 자자했다 한다. 관직은 좌참찬에 이르렀다.

기지가 있고 영리했으며, 문장에도 능하였다. 다만, 여러 차례 과거 시험을 관장하면서 부정을 행하고 청탁도 받아 지탄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시호는 정효(貞孝)이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청선고(淸選考)』
집필자
우인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