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보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공조참판, 도승지,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유종(維宗)
중주(中洲), 돈암(遯庵)
시호
문경(文敬)
이칭
성보(城輔)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38년(영조 14)
사망 연도
1811년(순조 11)
본관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주요 관직
공조참판|도승지|대사헌
정의
조선 후기에, 공조참판, 도승지,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초명은 성보(城輔).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유종(維宗), 호는 중주(中洲)·돈암(遯庵). 이정구(李廷龜)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도신(李度臣)이다. 본명이 이성보(李城輔)인데, 1801년(순조 1) 대사헌에 올라 이름의 '성'자가 정조의 어휘(御諱)를 범하기 때문에 소를 올려 직보(直輔)로 개명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김양행(金亮行)에게 수학해 크게 아낌을 받았으며, 1784년(정조 8) 유일(遺逸: 과거를 거치지 않고 높은 관직에 임명될 수 있는 학덕있는 인물)로 천거되어 선공감역(繕工監役)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이듬 해 익위사부수(翊衛司副率)에 올랐다.

1791년에는 동몽교관(童蒙敎官)으로서 이조와 의정부의 추천을 받아 경연관(經筵官)이 되었으며, 1796년 김인후(金麟厚)의 문묘 배향을 논의할 때 조헌(趙憲)과 김집(金集)도 같이 배향할 것을 역설하다가 잠시 파직되기도 하였다. 1797년 다시 세자시강원의 우유선(右諭善)이 되어 세자를 가르쳤으며, 그 뒤 공조참판과 도승지를 거쳐 우참찬에 올랐다가 사직하였다.

순조가 즉위하자 대사헌을 거쳐 이조판서로 활약하다가 다시 대사헌이 되었다. 이 때 이미 고인이 되었지만 찬선(贊善)과 참판으로 재직하면서 크게 활약한 김원행(金元行)과 김양행을 표창하도록 상소하였다. 1806년(순조 6) 성균관좨주가 되고, 이어 1811년 다시 서연(書筵)의 우유선으로 태자를 가르쳤다.

경사(經史)에 박통해 평소에 선비들의 중망을 받았고, 제자들을 가르칠 때에는 항상 『논어』와 『맹자』 중에서 인용하기를 좋아했다 한다. 특히 재물에 관심이 없어 평생을 청렴하게 지내다가 무주에서 죽었다. 뒤에 순조가 치제(致祭: 2품 이상의 실직을 역임한 신하가 사망한 경우에 임금이 제물과 제문을 보내 제사지내던 일. 또는 그 제사)했으며,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집필자
김호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