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탁 ()

이탁
이탁
언어·문자
인물
해방 이후 『국어학논고』, 「이두의 근본적 해석」 등을 저술한 학자. 국어학자, 독립지사.
이칭
이칭
씨종(氏鍾)
명재(命齋), 월양(月洋)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8년(고종 35)
사망 연도
1967년
본관
경주(慶州)
출생지
경기도 양평
정의
해방 이후 『국어학논고』, 「이두의 근본적 해석」 등을 저술한 학자. 국어학자, 독립지사.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아명은 씨종(氏鍾), 호는 명재(命齋) 또는 월양(月洋). 경기도 양평 출신. 오복(五福)의 아들이며, 한글학자 이갑(李鉀)의 형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8세 때 아버지로부터 한문(漢文)의 기초를 닦은 다음 향리에서 한문을 수학하다가, 1916년 경신학교(儆新學校)에 입학하여 장지영(張志暎)으로부터 조선어문법 강의를 들었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만주 집안현(集安縣)으로 건너가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 사관연성소(士官鍊成所)를 졸업하고 그 해 10월 청산리전투에 참가하였다.

1923년 8월 화전현(樺甸縣) 화림학교(樺林學校)에 부임하여 교편을 잡았다. 1924년 9월 『신단민사(神檀民史)』 보급건으로 검거되어 청진지방법원에서 3년징역을 선고받고 복역하던 중, 1926년 12월 가출옥하여 양평으로 귀향하였다. 1928년 정주 오산학교(五山學校)에서 근무하다가 1936년에 사직하였다.

1945년 9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 부임하여 1961년 9월 정년퇴직까지 국어학을 강의하였다. 1932년 한글학회 회원으로 가입하여 한글맞춤법통일안제정위원·표준말사정위원 및 이사를 역임하였다.

국어의 음운·문자·어원 및 국어의 발달에 관한 논문 중 「언어상(言語上)으로 고찰한 선사시대의 환하문화(桓夏文化)의 관계」·「한국어와 중국어에 공통한 계통적 음운법칙」·「향가신해독(鄕歌新解讀)」·「어학적으로 고찰한 우리 시가 원론」 등 7편을 회갑기념논문집 『국어학논고』(1958)에 수록하였다.

그 뒤로도 「이두(吏讀)의 근본적 해석」(『일석환갑기념논문집』), 「언어상으로 고찰한 우리 고대 사회상의 편모」(『한글』124호), 「‘·’음가의 새로운 고찰」(『동방학지』5집), 「국어 어원풀이의 일단」(『한글』 140호) 등을 발표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8년 대통령표창, 1991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잊을 수 없는 스승: 그 강의」(이응백, 『서울대학교동창회보』67, 1983)
「노국어학자(老國語學者) 월양이탁선생(月洋李鐸先生)의 걸으신 길을 더듬음」(이응백, 『국어교육』8, 1964)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