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조 ()

지촌집
지촌집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대사헌,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동보(同甫)
지촌(芝村)
시호
문간(文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55년(효종 6)
사망 연도
1724년(경종 4)
본관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대사헌|이조참판
정의
조선 후기에, 대사헌,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동보(同甫), 호는 지촌(芝村). 부제학 이단상(李端相)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허적(許積)이 권세를 잡고 송준길(宋浚吉)을 배척하는 소를 올렸을 때 조정에서 누구도 감히 명변(明辨)하는 사람이 없었으나, 이희조는 김수항(金壽恒)에게 글을 올려 논박하니 김수항도 탄복하였다. 송시열이 귀양을 간 뒤에는 양주의 지동(芝洞)으로 물러가 「대귀설(大歸說)」을 지었다.

1680년(숙종 6) 경신환국이 있은 뒤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건원릉참봉(健元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사퇴, 다시 천거되어 전설별검(典設別檢)에 임명, 이어서 의금부도사·공조좌랑을 지내고 진천현감이 되어 선정을 베풀었다.

1694년 갑술옥사 후에 다시 기용되어 인천현감이 되고, 이어 동궁서연관(東宮書筵官)·지평을 거쳐 천안군수로 나가 치적을 올렸다. 그 뒤 장악원정에 승진, 해주목사가 되어서는 석담(石潭)에 있는 이이(李珥)의 유적을 찾아 요금정(搖琴亭)을 세웠다.

또한, 이제묘(夷齊廟)에 찾아가 송시열의 글씨로 편액을 달고 기(記)를 지어 걸었으며, 나라를 위하여 죽은 사람들의 사당을 세워 민심을 격려하였다. 1717년 대사헌, 이듬 해 이조참판·찬선·좨주를 지내고 1719년 다시 대사헌이 되었다.

그러나 1721년(경종 1) 신임사화로 김창집(金昌集) 등 노론 4대신이 유배당할 때 영암으로 유배되었고, 철산으로 이배 도중 죽었다. 1725년(영조 1) 신원되어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인천의 학산서원(鶴山書院)과 평강의 산앙재영당(山仰齋影堂)에 봉향되었다. 저서로는 『지촌집(芝村集)』 32권이 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참고문헌

『지촌집(芝村集)』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조준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