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전 ()

목차
근대사
제도
1892년(고종 29)부터 1894년 사이에 주조되어 사용된 상평통보.
이칭
이칭
평양전(平壤錢), 신전(新錢)
목차
정의
1892년(고종 29)부터 1894년 사이에 주조되어 사용된 상평통보.
내용

평양전(平壤錢)·신전(新錢)이라고도 불리는데, 평양에 분설된 전환국 주전소에서 주조하였다. 아연·주석·철 등에 30∼40%의 구리를 섞어 주조한 다음 구리를 도금한 악화(惡貨)로, 실질가치는 이전 상평통보 일문전의 3분의 1에 불과하였다. 전질(錢質)이 양호한 당오전 1매를 다시 주조하면 조악한 일문전 5매가 되어 25문의 가치로 통용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그레셤(Gresham)의 법칙이 현실적으로 나타나게 되었고, 통화량의 증대와 물가의 폭등을 야기시켜 생활고를 가속시켰다. 또한, 서울지역에까지 통용이 확대되어 당오전의 80% 내지 동일가격으로 유통되었다. 1890년 12월 19일 전환국에서는 화폐주조 원료공급의 편의를 도모한다는 이유로 평양부에 주전소를 분설할 것을 건의하였고, 이에 따라 평양부에 주전소가 설치되었는데, 평안도관찰사 민병석(閔丙奭)이 관장하였다. 처음에는 크기가 작고 전질이 조잡한 당오전을 주조하였고, 1892년부터 일문전을 주조하였다. 1894년 7월 8일 화폐제도 문란을 이유로 주조가 금지되었다. 짧은 기간 동안 주조, 유통되었지만 일문전은 민씨세력이 정치권력을 신장하고 정권을 연장하는 데 들어가는 재력을 제공해주었다. 평양부 주전소를 관장하였던 민병석은 거부가 되었고 왕실에다 수십만냥을 바쳤다.

참고문헌

『한국화폐전사』(한국조폐공사, 1971)
『증보한국화폐사』(한국은행, 1969)
「당오전고(當五錢考)」(원유한, 『역사학보(歷史學報)』 35·36합집, 1967)
집필자
이상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