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견사건 ()

일본문견사건
일본문견사건
근대사
문헌
개항기 문신 박정양 등 7명이 조사일본시찰단으로 일본에 다녀온 후 1881년에 작성한 견문록. 사행록.
내용 요약

일본문견사건은 개항기 문신 박정양 등 7명이 조사일본시찰단으로 일본에 다녀온 후 1881년에 작성한 견문록이다. 수서본(手書本)으로 14권이 남아있다. 시찰단으로 파견된 12명 가운데 박정양·조준영·강문형·이헌영·민종묵·심상학·엄세영이 남겼다. 1881년 4월(음력)부터 7월까지 일본을 시찰하면서 자신들이 견문한 내용을 고종에게 보고한 문서이다. 당시 일본의 역사·지리·정치제도·경제제도·군사제도·사회제도·통상·외교관계 및 개항장사정·산업시설·물산·문화·풍속 등 여러 면에 걸친 일본의 실제 상황에 관한 조사 내용이 담겨 있다.

목차
정의
개항기 문신 박정양 등 7명이 조사일본시찰단으로 일본에 다녀온 후 1881년에 작성한 견문록. 사행록.
개설

14권. 수서본(手書本). 12명의 조사 중 박정양(朴定陽) · 조준영(趙準永) · 강문형(姜文馨) · 이헌영(李𨯶永) · 민종묵(閔種默) · 심상학(沈相學) · 엄세영(嚴世永)이 남긴 것이다.

이 밖에 홍영식(洪英植) · 조병직(趙秉稷) · 이원회(李元會)김용원(金鏞元) 등의 조사는 이러한 기록을 남기지 않은 듯하다. 어윤중(魚允中)의 경우에는 내용상 형식이 다른 『재정견문(財政見聞)』을 남겼다.

편찬/발간 경위

조선시대에는 암행어사가 임무를 종료하면 귀환하여 서계(書啓)와 별단(別單) 각 한 통씩을 작성하여 복명일(復命日)에 국왕에게 제출하는 것이 상례였다. 서계는 국왕이 내린 봉서(封書)에서 지시한 사항을 채방기재(採訪記載)한 문서로서 서한 형식으로 되어 있었다. 별단은 서계에 첨부되는 부속서류이다. 서계가 필수문서인 데 비해 별단은 견문과 채방사항이 많은 경우에 추가하는 문서이다.

박정양 등 7명의 조사들의 대내 직함은 ‘동래암행어사(東萊暗行御史)’였다. 그러므로 이들은 국왕이 내린 봉서에서 지시한 일본의 조정의론(朝廷議論) · 국세형편(局勢形便) · 풍속인물 · 교빙통상(交聘通商) 등 실정 전반에 관한 상탐 결과를 ‘문견록(聞見錄)’ · ‘문견사건(聞見事件)’ · ‘문견조건(聞見條件)’이라는 제목의 서계로 작성, 제출하였다.

이들 중 몇몇은 출발에서 귀환에 이르는 전 여정을 서술한 별단도 작성하여 복명 시에 고종에게 제출하였다. 이들 문건의 대체적인 내용은 박정양 등이 1881년 4월(음력)부터 7월까지 약 3개월간 메이지유신(明治維新) 이후 일본을 시찰하면서 자신들이 견문한 바를 고종에게 보고한 것으로 되어 있다.

내용

여기에는 당시 일본의 역사 · 지리 · 정치제도 · 경제제도 · 군사제도 · 사회제도 · 통상 · 외교관계 및 개항장사정 · 산업시설 · 물산 · 문화 · 풍속 등 여러 면에 걸친 일본의 실제상황에 관한 조사 내용이 담겨 있다.

박정양 등은 등과 후 10년 내외의 경력을 쌓은 종2품∼정3품의 중견관료이다. 일본에 가기 전에 암행어사(박정양 · 엄세영 · 강문형 · 이헌영) 혹은 청국파견사절(엄세영 · 강문형 · 민종묵)로 활약한 전력이 있는 인물들이었다. 따라서 이들이 남긴 『일본문견사건』은 당시 조선정부가 근대화된 메이지일본을 어떻게 인식하고 파악했는지를 나타내주는 자료라 하겠다.

또한, 여기에 나타나는 이들의 대일 · 대서양 인식은 1881년부터 1884년 사이의 개화운동 및 1894년의 갑오경장 등 일련의 개혁운동에 반영되었다고 여겨진다. 이헌영은 『일본문견사건초 1』과 『일본문견사건초 3』을 합친 『동래어사서계단(東萊御史書啓單)』이라는 문건도 남겼다. 종래 이 자료는 어윤중의 저서로 잘못 알려지기도 하였다.

심상학의 『일본문견사건초 2』는 종래 민종묵의 집필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 문건의 저자가 본문 중에서 자신의 담당 임무를 일본외무성을 조사하는 것이었다고 명기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심상학이 남긴 문건임이 분명하다.

참고문헌

『박정양전집(朴定陽全集)』(한국학문헌연구소 편, 아세아문화사, 1984)
『어윤중전집(魚允中全集)』(한국학문헌연구소 편, 아세아문화사, 1979)
『국역해행총재』 11(민족문화추진회, 1977)
「1881년(年) 조선조사일본시찰단(朝鮮朝士日本視察團)에 관한 일연구(一硏究)」(허동현,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 52, 1986)
「신사유람단고(紳士遊覽團考)」(정옥자, 『역사학보(歷史學報)』 27, 1965)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