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상공사 ()

목차
근대사
제도
1884년(고종 21)에 설립된 관영 양잠회사.
목차
정의
1884년(고종 21)에 설립된 관영 양잠회사.
개설

1884년 9월 고종이 부국강병책의 일환으로 농상(農桑)·직조(織造)·목축·지다(紙茶) 등의 분야에 관영회사를 설립하라는 지시를 내림으로써 설립되었다.

내용

잠상공사에는 묄렌도르프(Mollendorf,P.G.)의 알선으로 상해에 거주하던 독일인 메르텐스(Maertens,A.H., 한국명 麥登司·麥登士)가 초빙되었는데, 여기에는 서양의 양잠기술을 들여와 국내에 보급, 양잠생산력을 높이려는 정부의 의도가 깔려 있었다.

메르텐스는 잠상공사 경리직(經理職)을 맡아 회사를 경영했는데, 이 때 그에게 지불된 봉급은 신금(薪金) 300원(元)이었다. 잠상공사는 상해에서 100만 그루의 뽕나무를 수입하여 인천·부평·서울에 심었다.

인천의 뽕나무밭은 그 곳 농민의 시기전(時起田)과 시장(柴場)을 사들인 것이며, 특히 서울의 뽕나무밭은 왕이 구궁(舊宮)의 정원을 할애하여 마련하였다. 왕실의 이와 같은 관심 속에서 정부는 뽕나무 재배비용 3만원, 메르텐스 봉급 2만 원 등 모두 5만 원을 잠상공사에 투자하였다.

한편, 메르텐스도 잠상공사 운영자금을 투자하였으며, 그 액수는 수천 달러에 이르렀다고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투자에도 불구하고 회사가 투자한 것만큼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1889년 문을 닫았다.

한편, 잠상공사 설립계획은 수립되었으나 실행되지는 못하였으며, 이 때 설립된 것은 잠상공사가 아니라 메르텐스 개인이 경영했던 종상소(種桑所)라는 설도 있다. 이 설에 의하면, 앞에 서술한 잠상공사의 사업 내용도 실은 종상소의 사업 내용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 설에서도 종상소의 설립 경영에는 정부의 지원이 있었다고 주장되고 있으므로, 기존의 설과 뚜렷한 차이는 설립 주체가 정부가 아닌 메르텐스 개인이라는 것이다.

참고문헌

『통리기무아문일기(統理機務衙門日記)』
『구한국외교문서(舊韓國外交文書)』 15-덕안(德案) 1-(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소, 1966)
「한말고빙구미인종감(韓末顧聘歐美人綜鑑)」(이원순, 『한국문화(韓國文化)』 10, 1989)
「목인덕수기(穆麟德手記)」〔목인덕부인(穆麟德夫人) 편, 고병익 역, 『진단학보(震檀學報)』 24, 1963〕
「朝鮮開港後1880年代における生絲輸出の試みについて」-內衛門布示と蠶桑公司-(須川英德, 『朝鮮史硏究會論文集』 26, 1989)
집필자
강진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