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 장곡사 금동 약사여래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조각
유적
문화재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장곡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조성된 동조도금의 불상. 보물.
목차
정의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장곡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조성된 동조도금의 불상. 보물.
개설

202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이 불상이 원래부터 이 전각에 봉안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현 건물에 비하여 작은 편이다. 그러나 조성문에 의하면 약사불상으로 봉안되었음이 분명하다. 현재는 대좌나 광배는 없어지고 불상만 남아 있다.

내용

불신 자체는 손상이 거의 없는 완전한 환조상(丸彫像: 한 덩어리의 재료에서 물체의 모양 전부를 조각한 상)이다. 자세는 길상좌(吉祥坐: 왼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올려 놓은 다음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 위에 올려 놓은 자세)로 위엄 있게 앉아 있다.

왼손은 가슴에 들어 약호(藥壺)를 잡았고 오른손은 치켜들어 엄지와 중지를 대면서 다른 손가락들도 굽히고 있는 약사불의 특징적인 모습이다. 이러한 자세와 함께 전체적인 모습은 의젓하고 단아한 모습을 명쾌하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상 전체에 나타난다.

달걀 모양의 갸름한 얼굴, 반달 모양의 눈썹, 가늘면서도 적정한 눈, 단정하면서도 오뚝한 코, 작고 예쁜 입, 적당한 크기의 굴곡진 귀 등의 표현에서 나타난다. 머리카락은 나발(螺髮)이며 나형(螺形)은 꼭지로 올라갈수록 점점 커진다. 육계가 시작되는 머리 중앙부에 큼직한 둥근 구슬[寶珠]이 박혀 있는데 얼굴 모습과도 조화를 이룬다.

삼도(三道)의 단정한 처리, 다소 둥글면서 시원한 어깨선과 당당한 가슴, 비교적 균형 잡힌 체구, 손발의 곡선적 처리에서 단정함이 잘 나타나 있다. 이 불상의 대의(大衣)는 가슴을 넓게 벌렸는데, 신라 불상들과는 판이하다.

뿐만 아니라 옷주름을 간략하게 묘사한 것이라든가 왼쪽 팔꿈치에 Ω자형 옷주름을 표현한 점 등은 당대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 주는 것이다. 이와 함께 세부 특징으로 왼쪽 젖가슴 아래로 비스듬히 표현된 승각기 치레, 승각기 내지 군의(裙衣)의 나비형 띠 매듭과 띠의 네 가닥 주름 등도 당대 불상의 특징을 단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과 함께 불상이 균제(均齊)하면서 건장한 비례, 단아한 모습, 단순 명쾌한 선조 등에서 풍기는 불상의 양식은 복장(腹藏)에 있는 1346년(충목왕 2)에 조성된 작품이라는 기록과 합치되어 고려 후기 불상 양식의 편년 설정에 기준이 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5 실물3(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고려후기 단아양식불상의 연구」(문명대,『고문화』22,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83)
「장곡사의 금동약사좌상복장불경」(이은창,『고고미술』28, 한국미술사학회, 1962)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