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국진전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이칭
이칭
장국회전
내용 요약

「장국진전」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이다. 이 작품은 주인공 국진의 출생과 성장, 시련 및 극복, 수학과 과거 응시, 출세, 출전 승리, 여인들과의 결연 등이 모두 나타난다. 따라서 이 작품은 영웅소설로 분류할 수 있다. 또 첫째 부인 이씨와 셋째 부인 홍랑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특징이 있다. 이씨는 어려서부터 천문 지리, 손오 병법과 무술을 익힌 여걸로 등장하며, 홍랑은 적왕의 딸로서 위용을 보여 준다. 이 작품은 영웅소설의 전형을 보여주면서도 여성 영웅소설적 면모 역시 갖추고 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이본 현황

장국진의 영웅적 일생을 그린 영웅소설이다. 2책의 국문 필사본 · 활자본이 전하며 목판본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필사본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는데,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의 주1은 ‘장국회전(張國會傳)’이다. 활자본은 1916년 동아서관(東亞書館)을 비롯하여 1921년 대창서원(大昌書院) 등에서 출판하였다. 창작 시기는 19세기 초로 추정된다.

내용

명나라 때, 전 주2 장경구는 늦도록 자식이 없다가 부처께 주3 장국진을 얻는다. 국진은 7세 때 달마국의 침입으로 부모를 잃어버리고 술집에서 말을 먹이는 등의 고생을 한다. 이 때 달마국의 백원도사가 국진의 영웅성을 알아 보고는 그를 잡아다가 강물에 던져 죽이려고 한다. 그러나 청의동자가 국진을 구해주고, 이후 국진은 여학도사의 제자가 되어 경서와 도술을 익힌다.

7년 후 속세로 돌아온 국진은 수소문 끝에 부모와 상봉한다. 주14인 이창옥의 딸 계양에게 구혼하나 거절당한다. 그 후 국진은 장원 급제하여 천자의 주선으로 계양과 혼인하고 병부상서 유봉의 딸과도 혼인한다. 국진은 서주어사가 되어 백성들을 주15, 달마왕의 침입을 물리친다.

천자가 승하하고 태자가 즉위하자, 국진은 이참의 주8로 유배를 가다가 달마국에 잡혀 갇힌다. 그 사이 달마왕이 재차 침입하지만, 국진이 탈출하여 달마왕의 침입을 다시 한 번 막는다. 이 때 국진이 병이 들어 위험에 처하자, 계양이 남장을 하고 전장에 나아가 남편의 병을 고치고 적군과 싸워 승리를 거둔다. 개선하여 국진은 호왕에 봉해지고, 두 부인은 왕비로 봉해져 행복한 삶을 산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의 여 주인공인 이씨 부인이 전장에 나가서 도술로 남편을 돕고 싸움을 승리로 이끄는 내용은 「박씨부인전」의 박씨 역할과 흡사하다. 오히려 전장에 남자 복장으로 나가 직접 투쟁한다는 면에서는 박씨보다도 더 적극적이다. 이런 점에서 이 작품은 여성 영웅소설(女性英雄小說)과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장국진전」에 나오는 '계화'라는 이름은 「박씨부인전」에도 나오는 이름으로, 이를 통해서 이 두 작품이 상호 영향 관계에 있는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 작품의 남 주인공인 장국진은 「유충렬전」의 유충렬과 유사하다. 장국진이 본디 별(천상 벼락성)의 하강이라는 점, 등[背]에 28수(宿)를 나타내는 흑점이 있다는 점, 칠성을 타고난 주11의 충신이라는 점, 도사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그의 상대역 역시 후원 받는 도사가 있는 점, 주12이 황제의 별로 되어 있는 점, 천문(天文)을 보고 천자의 위기를 알아내는 점 등이 유충렬과 같다. 그러나 장국진이 과거에 응시하여 장원 급제를 하고, 그가 공을 세우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 조력자 이씨 부인이 곁에 있다는 점에서는 유충렬과 구분된다.

장국진이 이 소저를 선보기 위하여 여자 옷으로 바꾸어 입고 봉구황곡(鳳求凰曲)을 타는 장면은 「구운몽(九雲夢)」의 양소유가 정 소저를 선보기 위하여 여자 옷으로 갈아입고 봉구황곡을 타는 대목과 역시 일치하며, 이 소저의 계집종 이름이 '춘운(春雲)'인 점도 「구운몽」에 등장하는 시비 이름과 일치한다. 이러한 점들은 「장국진전」이 「구운몽」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 준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사, 1981)
성현경, 『한국소설의 구조와 실상』(영남대학교출판부, 1981)

논문

김기성, 「「장국진전」의 이본연구」(『청람어문교육』 10, 청람어문학회, 1993)
전용문, 「<장국진전>의 소설사적 위치」(『어문연구』 34, 어문연구학회, 2000)
주석
주1

책, 시문 따위의 표제나 제목의 이름. 우리말샘

주2

옛 중국의 벼슬. 우리나라의 정승에 해당한다. 우리말샘

주3

신이나 부처에게 소원을 빎. 또는 그 소원. 우리말샘

주8

남을 헐뜯어서 죄가 있는 것처럼 꾸며 윗사람에게 고하여 바침. 우리말샘

주11

세상에 비길 데가 없음. 우리말샘

주12

큰곰자리 부근에 있는 자미원의 별 이름. 북두칠성의 동북쪽에 있는 열다섯 개의 별 가운데 하나로, 중국 천자(天子)의 운명과 관련된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14

하늘에서 미리 정하여 준 배필이라는 뜻으로, 나무랄 데 없이 신통히 꼭 알맞은 한 쌍의 부부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5

흉년을 당하여 가난한 백성을 도와주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