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덕준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경신참변 취재 중 실종된 동아일보 기자.
이칭
추송(秋松)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1년
사망 연도
1920년
본관
결성(結城)
출생지
황해도 재령군
주요 경력
동아일보 기자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1963)
관련 사건
경신참변
내용 요약

장덕준은 일제강점기 경신참변 취재 중 실종된 동아일보 기자이다. 일본 유학 후 귀국하여 동아일보 창간을 주도하고 특파원 등으로 활동하던 중 1920년 경신참변을 취재하다가 실종되었다. 한국신문편집인협회가 1957년 종군기자이자 순직기자로 인정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경신참변 취재 중 실종된 동아일보 기자.
인적사항

장덕준(張德俊, 1891~1920)은 황해도 재령군 출신으로, 본관은 결성(結城), 호는 추송(秋松)이다.

주요 활동

어릴 적 한학을 공부한 후 1907년 재령 기독소학교에 입학하여 1909년에 졸업하였다. 그해 명신학교에 입학해 1911년에 졸업하고, 바로 명신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1914년에 평양일일신문사에 입사하여 조선문 신문부 기자로 활동하다가 이듬해 일본으로 건너갔다.

일본에서는 대학 진학 예비 과정인 세이소쿠〔正則〕 예비학교에 다녔다. 1917년에는 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 부간사로 활동하면서 재동경조선인유학생학우회의 평의원을 역임하였다. 조선인 노동자와 고학생들이 친목 도모를 위해 결성한 노동동지회의 회장으로도 활약하였다. 1919년에는 노동동사회의 회장을 맡았다. 3 · 1운동이 일어날 무렵 폐결핵으로 요양 중임에도 홋카이도〔北海道〕에 조선인 노동자의 생활 실태를 살피기 위해 다녀왔다.

1919년 7월 무렵부터 김성수 등과 함께 민간신문 창간 준비에 나서 창간 발기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1920년 4월 『 동아일보』 창간 당시 논설반원과 통신부장, 조사부장을 겸하였다. 동생인 장덕수는 초대 주1을 맡았다. 1920년 4월 2일부터 4월 13일까지 10회에 걸쳐 『동아일보』 1면에 "조선 소요에 대한 일본 여론을 비평함"이라는 제목의 논설을 썼다. 그해 7월 동아시아를 방문하는 미국 의원단 취재를 위해 중국에 특파되었다.

1920년 10월 간도에서는 일본군이 조선 동포를 무차별 학살한 경신참변이 일어났다. 이 소식을 듣고 10월 중순 간도로 건너가 참상의 현장을 취재하였다. 하지만 당시 『동아일보』가 주2을 당해 보도기사가 나가지는 못하였다. 그해 11월 8일 밤이 지나고 아침이 밝아오는 사이 실종되어 소식이 끊어졌다.

1930년 4월 『동아일보』는 장덕준을 순직자로 주3하며 추도식을 거행하였다. 1957년 한국신문편집인협회는 장덕준을 주4이자 순직기자로 인정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주5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정진석, 『인물 한국언론사』(나남출판, 1995)
최준, 『한국신문사』(일조각, 1960)

논문

최상원, 한혜경, 「일제강점기 한국 · 중국 · 일본 등 동북아 3개국에 걸친 기자 장덕준의 언론활동에 관한 연구」(『동북아 문화연구』 30,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주석
주1

어떤 일을 책임지고 맡아서 처리함. 또는 그런 사람.    우리말샘

주2

감독관청의 명령으로 신문, 잡지 따위의 정기 간행물의 발간을 일시적으로 중지함.    우리말샘

주3

높이 받들어 우러러봄.    우리말샘

주4

군대를 따라 전쟁터에 나가 전투 상황을 보도하는 기자.    우리말샘

주5

죽은 뒤에 관등을 올리거나 훈장 따위를 줌. 우리나라의 경우 긴급 상황에서 살신성인의 정신을 실천하다가 사망하거나 위급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신을 희생하여 사회 전체의 본받을 만한 모범이 된 사람, 생전에 큰 공을 세워 국민의 존경을 받으며 덕망을 갖춘 사람에게 준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정인(춘천교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