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명등 ()

가족
물품
능(陵), 원(園), 묘(墓)의 봉분 앞에 세워 놓은 석등(石燈).
물품
재질
화강암
내용 요약

장명등은 능(陵), 원(園), 묘(墓)의 봉분 앞에 세워 놓은 석등(石燈)이다. 사찰의 석등과 유사하지만 ‘장명등(長明燈)’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고 후손의 장생발복(長生發福)을 기원하기 위해 불을 꺼뜨리지 않고 오래오래 밝히는 등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와 같은 예서에 능묘 석물로 장명등이 정식 명칭으로 되어 있음에도 명등석(明燈石)이라는 별칭이 조선 후기에 등장한다. 이 명칭은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의궤에서 자주 사용되었다.

정의
능(陵), 원(園), 묘(墓)의 봉분 앞에 세워 놓은 석등(石燈).
연원

무덤에 오래도록 불을 밝힌다는 개념은 사마천의 『사기(史記)』에 기록된 진시황릉의 인어 기름 등불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장명등에 관한 역사적 기록을 살펴보면, 『동문선(東文選)』에 왕건이 고려를 건국할 때 재앙을 누르고 총명한 임금이 대를 잇고 충신이 끊임없기를 바라면서 장명등을 설치했다는 기록이 주1 고려 말엽 이곡(李穀)의 원나라 사찰에 관한 기록에서 밤낮으로 등불을 켜 놓는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장명등이 사찰의 석등에서 유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사찰의 석등이 능묘 석물로 유입된 것은 왕릉의 공간 구성이 기본적으로 사찰에서 금당(金堂) 바로 앞에 석등이 놓이는 공간 배치와 동일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형태와 제작 방식

장명등은 주로 화강암으로 제작했으며, 주2 위에 주3을 놓고 그 위에 창을 낸 주4을 얹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주5을 올린 구조이다.

형식은 개석과 화사석 모양에 따라 크게 사각장명등과 팔각장명등으로 구분된다. 조선이 개국한 이래 최초로 축조된 능인 정릉에는 사각 장명등이 설치되었다. 이는 고려 공민왕과 노국 대장 공주의 현정릉의 장명등 형식을 그대로 따른 것이다. 이후 제릉(齊陵)에서 팔각 장명등으로 바뀌었다가 추봉릉인 단종 장릉부터는 다시 사각 장명등으로 바뀌어서 홍유릉까지 지속되었다. 융릉과 건릉에는 예외적으로 팔각 장명등이 설치되었다. 조선왕릉 장명등에 새겨진 문양은 안상(眼象), 풍혈(風穴), 운족(雲足), 연주(聯珠), 수(壽)자문의 기하 문양과 연꽃, 연잎, 모란, 영지, 당초문, 태평화, 초룡문 등의 식물 문양이 있다. 그 외에 건릉 장명등에는 연화, 국화, 모란, 불로초, 석류, 주9, 주8, 난초가 매우 사실적으로 새겨져 있다.

변천 및 현황

능묘 석물의 장명등과 사찰의 석등은 그 의미와 설치 목적에서 차이가 있다. 사찰 석등은 부처와 관련된 법등(法燈)을 의미하지만, 장명등은 능묘 앞에 불을 밝힘으로써 죽은 이의 명복을 빌며 사악한 기운을 물리친다는 벽사와 후손의 장생발복(長生發福)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조선 초기에는 장명등에 실제로 불을 켜기도 했던 것으로 주6 그리고 1701년 『인현왕후산릉도감의궤』에서 장명등을 만든 대부석소 의궤에 4면의 창에 바르는 종이를 장흥고(長興庫)에서 가져왔다고 한 것으로 보아 그 후에도 특정 기간에 불을 켰을 것으로 주7 그러나 장명등은 무덤 앞에 실제로 불을 밝히기 위한 장치라기보다는 상징적 석물로서 의미가 더 컸다.

참고문헌

원전

『조선왕조실록』
『국조오례의』

단행본

정해득, 『조선왕릉 제도연구』(신구문화사, 2013)
『조선왕릉 석물조각사』(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논문

김민규, 『조선왕릉 장명등 연구』(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주석
주1

『동문선』 제79권, 「기(記)」, <오관산 성등암 중창기(五冠山聖燈庵重創記)>.

주2

건축물이나 비석 따위의 기초로 쌓는 돌. 우리말샘

주3

바닥을 받치고 있는 돌. 우리말샘

주4

석등(石燈)의 중대석(中臺石) 위에 있는, 등불을 밝히도록 된 부분. 우리말샘

주5

석탑이나 석등 따위의 위에 지붕처럼 덮는 돌. 우리말샘

주6

헌릉의 대상이 끝나고 “장명등에 불 켜는 일과 분향하는 일은 옛 제도가 아니니 그런 일은 없애는 것이 마땅합니다.”라는 건의에 세종은 불을 켜지 말도록 하였다. 『세종실록』 6년 갑진(1424) 5월 7일.

주7

김민규, 「조선왕릉 장명등 연구」(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5쪽.

주8

불수감나무의 열매. 겨울에 익으며 유자보다 훨씬 크고 길며, 끝이 손가락처럼 갈라지고 향내가 매우 좋다. 우리말샘

주9

선경(仙境)에 있다는 복숭아.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