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봉준공초 ()

전봉준공초
전봉준공초
근대사
문헌
1895년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 전봉준이 법정의 심문에 답한 내용을 기록한 문서. 공초.
정의
1895년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 전봉준이 법정의 심문에 답한 내용을 기록한 문서. 공초.
개설

전 1책. 8,000자 안팎의 간략한 책자이다. 내용은 심문 순서에 따라 초초문목(初招問目) · 재초문목(再招問目) · 3초문목 · 4초문목 · 5초문목에 걸치고 있다.

내용

초초문목은 1895년(고종 32) 2월 9일, 재초문목은 2월 11일, 3초문목은 2월 19일, 4초문목은 3월 7일, 5초 문목은 3월 10일에 있었던 심문 내용이다. 초초문목에서 재판관은 전봉준에 대한 심문에서 주로 1894년 정월의 고부민란과 3월의 동학농민 봉기와의 관계, 농민과 동학교문과의 관계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하고 있다.

여기에서 전봉준은 처음 고부민란의 단계에서는 봉기한 농민 중 동학교도는 적었고 원민(寃民)이 더 많았고 지방관의 가렴주구에 대한 항거로 봉기가 불가피했다고 답변하였다.

이 초초문목에서 전봉준은 동학교문과의 관계를 분명히 하고 있지 않지만, 재초문목에서는 자신이 동학의 접주임을 분명히 밝히고 손화중(孫和中) · 최경선(崔慶善) 등 다른 동학 접주와의 관계를 말하고 있다. 또한 동학의 교리적 성격, 교단의 직제까지 설명하고 그가 동학교문에 입도하게 된 까닭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제3 · 4 · 5초문목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심문의 대부분이 그와 대원군과의 관계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전봉준은 대원군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 밖에 동학농민혁명의 원인, 경과 등에 걸친 그의 진술이 잘 나타나 있다.

전봉준 공초는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원본이 소장되어 있다. 1959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이를 대본으로 하여 한국사료총서 10, 『동학란기록』 상 · 하 2권 중 하권에 수록하였다.

의의와 평가

전봉준 공초는 그에 대한 다른 기록인 재판 판결문 원본과 함께 그의 사상 및 동학농민혁명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동학란기록(東學亂記錄)』 상·하(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료총서 10, 1959)
「전봉준(全琫準)과 동학농민혁명(東學農民革命)」(김창수, 『한국근대(韓國近代)의 민족의식운동(民族意識運動)』, 동화출판공사, 1987)
「동학사상(東學思想)과 민중봉기(民衆蜂起)」(김창수, 『숭산박길진박사고희기념(崇山朴吉鎭博士古稀紀念) 한국근대종교사상사(韓國近代宗敎思想史)』, 1984)
「전봉준공초(全琫準供草)의 분석(分析)-동학란연구(東學亂硏究)-」(김용섭, 『사학연구(史學硏究)』 2, 1959)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김창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