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중 ()

불교
인물
신라 하대, 구산선문의 하나인 사자산문의 제2조 선승.
이칭
시호
징효(澄曉)
보인(寶印)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826년
사망 연도
900년
출생지
황해도 봉산군
내용 요약

절중(折中, 826~900)은 신라 하대 구산선문의 하나인 사자산문의 제2조 선승이다. 사자산문을 연 도윤을 계승하였으며, 사자산 흥녕선원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법맥으로 보아 마조계(馬祖系)의 선을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목차
정의
신라 하대, 구산선문의 하나인 사자산문의 제2조 선승.
생애 및 활동사항

절중(折中, 826~900)은 법명이며, 사자산문(獅子山門)을 개창한 도윤(道允)을 이은 선승이다. 그는 황해도 봉산 출신이며, 아버지는 선당(先幢), 어머니는 박씨(朴氏)이다. 7세에 출가하여 오관산사(五冠山寺) 진전(珍傳)의 제자가 되었다. 15세에 부석사(浮石寺)에서 화엄교학을 배웠고, 19세에 백성군(白城郡) 장곡사(長谷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당시 당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도윤이 있던 금강산 장담사(長潭寺)로 찾아가 그의 문하에서 수행하였다. 이후 도담선원(道譚禪院)의 자인선사(慈仁禪師) 문하에서 16년 동안 수행하였다. 이후 각지를 다니다가 882년(헌강왕 8)에 전 주1인 위공(威公)이 곡산사(谷山寺) 주지로 그를 추천하였다. 그는 이곳에서 잠시 머물다가 운예 선사(雲乂禪師)의 요청에 따라 사자산으로 옮겨 머물렀다.

이때 헌강왕이 절중을 궁궐로 초청하고 사자산 흥녕선원(興寧禪院)을 중사성(中使省)에 예속시켰다. 이어 정강왕도 그를 존숭하였다. 절중은 891년(진성여왕 5)에 전란을 피해 상주 남쪽으로 피난하였고, 정치 · 사회적 혼란이 이어지자 여러 곳을 옮겨 다녔다. 은강선원(銀江禪院)에 머물고 있을 때, 진성여왕이 장연열(張連說)을 보내어 그에게 국사의 예우를 표하였으나 거절하였다.

900년(효공왕 4)에 세수 74세, 법랍 56세로 입적하였다. 그의 제자로는 여종(如宗), 홍가(弘可), 이정(理靖), 지공(智空) 등 1,000여 명이 있었다. 906년에 시호를 징효(澄曉), 탑호를 보인(寶印)이라 하고, 박인범에게 비문을 짓도록 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였다. 924년에 최언위(崔彦撝)가 비문을 지었으며, 비의 건립은 후삼국 통합 후인 944년(혜종 원년)에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후삼국 전쟁기라는 정치 · 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절중의 비를 건립하는 사업이 지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절중이 계승한 도윤은 헌덕왕 17년(825)에 당에 가 마조도일(馬祖道一)-남전보원(南泉普願)의 법맥을 이었다. 절중이 자인(慈忍)의 문하에서 오랫동안 수행한 이력이 있지만, 그 스스로 도윤의 법맥을 이었다고 표방하였으므로 그는 기본적으로 '마조(馬祖) 선'을 지향했던 것으로 보인다. 마조도일은 당대(唐代) 선을 대표하는 선승으로, '마음이 곧 부처(卽心是佛)'라고 주장한 인물이다. 그는 '수행을 통해 미혹한 마음이 부처의 마음으로 바뀌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마음이 곧 도(平常心是道)'이며, '일상의 모든 행위는 불성이 드러난 것(作用卽性)'이라 보았다. 이와 같이 수행이 필요 없고, 있는 그대로의 일상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는 마조도일의 사고는 그 사고에 수반되는 실천의 형태로서 현실의 모습 그대로를 이상적 상태로 간주하는 평상무사(平常無事)의 사상을 도출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최언위(崔彦撝), 「유당신라국사자산흥녕사봉교시징효대사보인지탑비명병서(有唐新羅國師子山興寧禪院故敎諡澄曉大師寶印之塔碑銘幷序)」(『조선금석총람』 상, 조선총독부, 1919)

단행본

김두진,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일조각, 2007)
조범환, 『나말여초 선종산문 개창 연구』(경인문화사, 2008)
추만호, 『나말여초 선종사상사 연구』(이론과 실천, 1992)
忽滑谷快天, 『朝鮮禪敎史』(春秋社, 1930)

논문

노용필, 「신라하대 선종 사자산문의 사회적 기반」(『한국고대사회사상사탐구』, 한국사학, 2007)
박정주, 「신라말 고려초 사자산문과 정치 세력」(『진단학보』 77, 진단학회, 1994)
최연식, 「사자산 선문의 성립 과정에 대한 재검토」(『불교학연구』 21, 불교학연구회, 2008)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신라 때에, 국왕의 고문으로서 불교 정책의 총책임을 맡아보던 승직(僧職). 진흥왕 12년(551)에 고구려에서 온 혜량 법사(惠亮法師)를 처음으로 임명하였다. 우리말샘

주2

승려가 된 뒤로부터 치는 나이. 한여름 동안의 수행을 마치면 한 살로 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