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집 ()

정재집 / 양회갑
정재집 / 양회갑
유교
문헌
개항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학자, 양회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개항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학자, 양회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65년 양회갑의 아들 양찬승(梁燦承)과 제자들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여창현(呂昌鉉)의 서문, 권말에 김규태(金奎泰)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16권 7책. 신연활자본. 고려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등에 있다.

내용

권1·2에 시 988수, 권3∼6에 서(書) 346편, 잡저 24편, 권7·8에 서(序) 73편, 기(記) 70편, 권9∼11에 발(跋) 24편, 잠(箴) 1편, 명(銘) 12편, 찬(贊) 13편, 사(辭) 5편, 상량문 13편, 축문 31편, 제문 29편, 비문 21편, 묘지명 5편, 권12·13에 묘갈명 61편, 묘표 50편, 권14·15에 행장 39편, 유사 1편, 전(傳) 5편, 권16에 부록으로 가장·행장·묘갈 각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근차송후암계산구곡운(謹次宋後菴鷄山九曲韻)」은 송증헌(宋曾憲)이 계산정사를 신축하고 주희(朱憙)의 「무이도가(武夷櫂歌)」를 모방해 시를 짓고 화답을 청하자, 『대학』의 명덕(明德)·신민(新民)·지어지선(止於至善) 등의 순서로 시를 지어 화답한 것이다. 「고소대봉심충무공대첩비(姑蘇臺奉審忠武公大捷碑)」는 고소대에서 이순신(李舜臣)의 대첩비를 봉심(奉審)하고 지은 것이다.

찬 가운데 「명말제의사찬(明末諸義士贊)」은 명나라 말기의 의사인 좌무제(左懋第)·유종주(劉宗周) 등 9인의 절의를 찬양해 지은 글이다. 서(書) 가운데 「상송사선생근사록문목(上松沙先生近思錄問目)」은 스승 기우만(奇宇萬)에게 『근사록』의 난해한 곳을 질문한 것이며, 그 밖의 문목·별지 등도 주로 경학과 예학에 대한 문답이다.

잡저 가운데 「대학차록(大學箚錄)」은 『대학』의 어려운 부분을 가려 뽑아 선현들의 말을 인용하여 해석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견을 첨가해 설명한 것이다. 「죽림정사학규(竹林精舍學規)」는 죽림정사에서 선비들을 교육하면서 그들이 지켜야 할 규범과 닦아야 할 학행 및 익혀야 될 학문의 내용 등을 규정한 것이다. 이 밖에도 생활하면서 보고 듣고 느낀 점과 후진 교육에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을 그때그때 기록해 둔 「사상록(沙上錄)」·「사상잡록(沙上雜錄)」이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해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