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선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전한, 상주목사, 안변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사우(士優)
동원(東園)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1년(선조 4)
사망 연도
1632년(인조 10)
본관
나주(羅州)
주요 관직
정주목사
관련 사건
정묘호란
정의
조선 후기에, 전한, 상주목사, 안변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사우(士優), 호는 동원(東園). 병조판서 정옥형(丁玉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찬성 정응두(丁應斗)이고, 아버지는 대사헌 정윤복(丁胤福)이며, 어머니는 사헌부감찰 한경상(韓景祥)의 딸이다. 정경세(鄭經世)·이준(李埈)과 교유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1년(선조 34) 진사가 되고, 이 해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이어 이조정랑·직강·사예·전적·지평·정언·수찬·응교 등을 역임하였다. 1609년 승문원판교로 춘추관편수관을 겸하여 『선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611년(광해군 3) 장령·사간을 거쳐 강원도관찰사로 부정을 범한 춘천부사 이원엽(李元燁), 양양현감 신경우(申景遇)를 파직시켜 지방의 관기를 바로잡았다. 1613년 집의·전한을 지내고, 1616년 사인으로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당시 이이첨(李爾瞻)·정인홍(鄭仁弘) 등 대북파가 득세, 계축옥사를 일으켜 영창대군(永昌大君)·김제남(金悌男) 등을 죽이고,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이 대두되어 정세가 크게 혼란하자 상주목사로 나가면서 병을 이유로 사직하고 은퇴하였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이후 다시 기용, 안변부사로 있을 때 이괄(李适)의 역모를 알리는 고변서에 그 이름이 기재되었으나, 아우 정호서(丁好恕)가 정주목사로서 이괄의 사자를 베고 군사를 일으켜 근왕(勤王)을 함으로써 화를 면할 수 있었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났을 때 파수대장(把守大將)으로 좌도의 병사를 거느리고 죽령(竹嶺)에 진을 쳤다가 강화가 성립되어 철수, 이듬해 병으로 사임하였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우복집(愚伏集)』
『창석집(蒼石集)』
『순암문집(順菴文集)』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대동야승(大東野乘)』
집필자
이범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