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순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호조판서, 예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의중(毅仲)
호동(瓠東)
시호
충헌(忠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20년(숙종 46)
사망 연도
1784년(정조 8)
본관
동래(東萊)
주요 관직
예조판서|우의정
정의
조선 후기에, 호조판서, 예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의중(毅仲), 호는 호동(瓠東).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의 후손이며, 정재대(鄭載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혁선(鄭赫先)이고, 아버지는 참판 정석삼(鄭錫三)이다. 어머니는 임성군(臨城君) 이엽(李熀)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45년(영조 21) 정시문과에 주1로 급제한 뒤, 설서 · 주2 · 지평 · 교리 · 주3 등을 거쳐 평안도 관찰사가 되었다. 이후 주4로 10년 간 재직하면서 재정 문제에 특히 재능을 발휘하여 당대 제일의 재정관으로 명성을 날렸다.

1762년 호조판서로서 주5를 겸해 장헌세자(莊獻世子)의 상(喪)에 장의(葬儀)를 주관하면서, 장헌세자의 의복과 주6에서부터 악모대리(幄帽帶履) 등 미세한 것까지 한쪽씩 떼내어 그때의 주7와 함께 봉하여 주8를 단속하고 이를 보관하였다.

1777년 정조가 즉위한 다음 해, 앞서 세자의 장례 때 상례의 풍부 여부를 알고자 당시 예조판서였던 그를 대령하게 했는데, 그가 곧 서리를 시켜 당시 간직해두었던 것을 내어다 보이자, 정조는 부장품이 풍부하고 예에 빠진 것이 없음을 보고 매우 가상히 여겨 곧 우의정에 제수했다.

정승이 된 뒤에도 미세한 일에까지 검소와 절약으로 일관하였다. 어느 때인가 자기집을 수리할 때 공인(工人)과 더불어 일삯으로 서로 다툰 일이 있었다. 이를 본 그의 아들이 “어른의 신분으로 천한 공인과 노임을 가지고 다투는 것은 체면에 관계되는 일이 아닙니까?”하니, 그는 “정승은 한 나라의 주9인데, 내가 삯을 과히 주면 온 나라의 예가 되어 빈한한 백성들이 많은 곤란을 받게 된다”고 하였다.

또, 한때 그에게 주10 한푼이 있었는데, 사람을 시켜 땜질하여 붙이는 데 두푼이 들었다. 어떤 사람이, “두푼을 들여 한푼을 얻으면 오히려 한푼이 손해가 나는데 어째서 공은 그런 일을 하느냐?”고 묻자, 그는 “나 개인은 한푼을 잃었어도 나라에는 한푼이 이익이 되니 어찌 이익이 아니겠는가!” 라고 하여 사람들이 모두 그의 도량에 탄복했다 한다.

시호가 정민(靖敏)으로 내려졌다가, 뒤에 충헌(忠憲)으로 개시(改諡)되었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속조야집요(續朝野輯要)』
『일성록(日省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과거 합격자를 성적에 따라 나누던 세 등급 가운데 셋째 등급. 문과(文科)에서는 23명, 무과(武科)에서는 20명을 뽑아 정구품의 품계를 주었으며, 성균관ㆍ승문원ㆍ교서관의 임시직인 권지(權知)에 임명하였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이조에 속한 정오품 벼슬. 정원은 2명으로 병조 전랑과 함께 인사 행정을 담당하였다. 우리말샘

주3

이조에 속한 종이품 벼슬. 이조 판서의 아래이다.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호조에 속한 으뜸 벼슬. 품계는 정이품이다. 우리말샘

주5

조선 시대에 둔 예조의 으뜸 벼슬. 공양왕 원년(1389)에 예의판서를 고친 것으로 정이품 문관의 벼슬이다. 우리말샘

주6

이부자리와 베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나중에 자세하게 참고하거나 검토할 문서와 장부. 우리말샘

주8

지키는 사람. 우리말샘

주9

몸을 가지는 태도. 또는 차린 모습. 우리말샘

주10

찢어지거나 깨어진 돈. 우리말샘

집필자
손승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