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양록 ()

목차
관련 정보
제양록 상편
제양록 상편
문헌
조선후기 문신 이상정이 일상생활의 범절과 행동수범에 관해 저술한 지침서. 윤리지침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이상정이 일상생활의 범절과 행동수범에 관해 저술한 지침서. 윤리지침서.
내용

1권. 목판본.

상편은 24조로 구성되어, 일상생활의 범절과 행동수범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하편은 20조로 구성되었고, 유가도통(儒家道統)의 성인·현인의 어록과 행적을 수록하였다. 책의 편차는 인용 문헌을 각 항목에 따라 적절하게 기재한 뒤, 저자 스스로의 평설과 예화를 안(按:조사하여 증거를 세움)의 형식으로 설명하였다.

내용은 상편에서 통언(通言)·심술(心術)·두(頭)·안색(顔色)·의복·음식 등 일상사의 행위규범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는 서문에서, 밖으로 드러나는 일상사의 행위를 강조하는 이유는, 그것이 방일한 마음을 수습하는 주요한 수단이기 때문임을 밝히고 있다.

인용된 목록은 ≪표기 表記≫·≪논어≫·≪곡례 曲禮≫·≪주자경재잠 朱子敬齋箴≫ 등 60여 종에 이르러 저자의 넓은 독서 범위를 알려 준다. 저자 자신이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여 성리학을 연구하였기에, 이 책의 내용도 심성론적(心性論的)인 것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선비가 제양공부(制養工夫)를 잠시도 멈추지 않을 때, 마침내 마음과 몸이 표리일치가 되고, 우주와 인간이 합일되어 통일·조화의 상태에 도달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하편에서는 요(堯)·순(舜)·우(禹)·탕(湯)·문왕·무왕 등 유학도통 인물의 행적과 어록을 수록하고 있다. 배움의 과정에 있는 젊은이들에게 바람직한 인간상을 제시하고, 행동준칙을 알려주고자 한 것이 하편의 목적이라고 하겠다.

특히 유학도통의 마지막 인물로서 우리 나라 이황을 유일하게 포함시키고 있는 것이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정통 유학의 정맥이 중국에서는 이미 끊어졌으며, 이것이 동방의 이황에 의하여 정당히 계승, 발전되었다는 자긍심을 은연중에 밝혀 놓은 것으로 이해된다.

이 책이 지닌 교육사적 의의는 명문사족 가문이 시행하였던 자녀교육의 한 전범(典範)을 보여준다는 점에 있다. 또한 본격적인 성리학 탐구는 가까운 일상생활의 예의범절을 몸소 행하고 난 뒤에 순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명료하게 제시하고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조선시대의 교육명저순례」(정순목, 『배영사신서』 128, 1985)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