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식 ()

정치
인물
일제강점기 때, 물산장려운동과 신간회 활동 등을 통해 항일투쟁을 전개한 교육자 · 개신교인 · 정치인 · 독립운동가.
이칭
고당(古堂)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3년(고종 20)
사망 연도
1950년
본관
창녕
출생지
평안남도 강서
내용 요약

조만식은 일제강점기 조선물산장려회 회장, 신간회회원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다. 1883년 평안남도 강서 출생으로 23세에 평양 숭실중학에 입학하면서 기독교에 입교하였다. 1908년 일본 동경 유학 중 간디의 무저항주의에 심취한 후 일제에 대항하는 이념으로 삼았다. 귀국 후 오산학교의 교사와 교장을 역임하였으며, 3·1운동으로 1년간 옥고를 치렀다. 1922년 조선물산장려회를 조직해 국산품애용운동을 벌였으며, 1932년 조선일보사 사장에 추대되었다. 1970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에 추서되었으며, 어린이대공원과 오두산통일전만대에 동상이 세워져 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물산장려운동과 신간회 활동 등을 통해 항일투쟁을 전개한 교육자 · 개신교인 · 정치인 · 독립운동가.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호는 고당(古堂). 평안남도 강서 출신. 1883년 2월 1일 출생. 아버지는 조경학(曺景學)이며, 어머니는 진강 김씨(鎭江金氏)이다.

일제 식민지시대 조선일보사 사장으로 민족 언론 창달에 공헌하고 무저항 민족주의운동을 지도했다. 해방 후 북한에서 주1을 주도하기도 해 소련군에 의해 주2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한학을 수학하고 15세에부터 22세까지 평양성 내 상점에서 일하며 소년시절을 보냈다. 23세에 평양 숭실중학(崇實中學)에 입학하면서 기독교에 입교하였다.

1908년 일본 동경으로 유학, 세이소쿠영어학교[正則英語學校]를 거쳐 1910년 메이지대학[明治大學] 법학부에 입학하였다. 유학 중 백남훈(白南薰) · 김정식(金貞植)과 함께 장로교 · 감리교연합회 조선인교회를 설립하였고, 간디(Gandhi, M. K.)의 주3에 심취하여 민족운동의 거울로 삼았다.

1913년 메이지대학을 졸업한 후 귀국하여 평안북도 정주에 동지인 이승훈(李承薰)이 설립한 오산학교(五山學校)의 교사가 되었으며, 2년 후인 1915년 교장이 되었다. 1919년 교장직을 사임하고 3 · 1운동에 참가하였다가 잡혀 1년간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다시 오산학교 교장으로 복귀하였으나 일본관헌의 탄압으로 제대로 재직하지 못하고 평양으로 돌아가 1921년 평양기독교청년회 총무에 취임하는 한편, 산정현교회(山亭峴敎會)의 장로가 되었다. 이 무렵 알게 된 평생의 심우(心友) 오윤선(吳胤善)과 함께 1922년 조선물산장려회(朝鮮物産奬勵會)를 조직, 그 회장이 되어 국산품애용운동을 벌였다.

1923년 송진우(宋鎭禹) · 김성수(金性洙) 등과 함께 연정회(硏政會)를 발기하여 민립대학기성회(民立大學期成會)를 조직하였으나 일제탄압으로 실패하였고, 숭인중학교(崇仁中學校) 교장을 지내다가 1926년 일제에 의해 강제 사임당하였다.

1924년 신간회(新幹會)에 참여했으나 일제의 방해로 활동이 좌절되었다. 1930년 관서체육회(關西體育會) 회장으로 민족지도자 육성에 이바지하였고, 1932년 조선일보사 사장에 추대되어 언론을 통하여 민족의 기개를 펴는 데 앞장섰다.

1936년 전국적인 민족정신 앙양운동의 일환으로 평양에서 을지문덕장군수보회(乙支文德將軍修保會)를 설립하였다. 이 무렵에 평양조선인사회의 유일한 공회당이었던 백선행기념관(白善行記念館)을 개설하고 인정도서관(仁貞圖書館)을 세웠다. 1943년 지원병제도가 실시되자 협조를 간청해온 재조선군일본인사령관 이타가키 세이시로[板垣征四郎]의 면담요청을 거절하여 한때 구금당하였다.

광복 직후 평안남도건국준비위원회를 구성하여 그 위원장이 되었다. 소련군정당국이 그들이 만든 최고행정기관인 북조선인민정치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할 것을 종용하였으나 거절하였다. 1945년 11월 3일 조선민주당(朝鮮民主黨)을 창당하여 당수가 되었다. 이 조선민주당을 통하여 북한에서 반탁운동을 전개하다가 1946년 1월 5일 소련군에 의해 고려호텔에 연금당하였다.

그 뒤 생사가 분명하지 않은 가운데 1950년 6 · 25전쟁 직전 평양방송이 그와, 체포된 간첩 김삼룡(金三龍) · 이주하(李舟河)의 교환을 제의하였다. 공산군의 평양철수시 그들에 의하여 총살된 것으로 전해진다. 평생을 기독교정신의 실천가로서 생활하였고, 일제에 대하여는 비폭력 · 무저항 · 불복종의 간디즘으로 대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0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에 추서되었으며, 1991년 국립서울현충원주4이 안장되었다. 서울 능동 어린이대공원과 경기 파주의 오두산통일전망대에 동상이, 저동에는 고당기념관이 세워져 있다.

참고문헌

『민중과 함께 한 조선의 간디: 조만식의 민족운동』(장규식, 역사공간, 2007)
『고당 조만식 사상의 연구노트』(홍만춘, 혜림출판사, 2004)
『고당 조만식 회상록』(고당 기념사업회 편, 조광출판, 1995)
「조만식: 그는 누구인가」(김명섭,『주간조선』, 2006)
고당조만식선생기념사업회(http://godang.goorm.net)
주석
주1

8ㆍ15 광복 직후 신탁 통치를 반대한 국민운동. 우리나라에 대한 5년간의 신탁 통치를 위하여 1945년 12월 27일에 모스크바 삼상 회의에서 채택한 미ㆍ소 공동 위원회를 구성한다는 안에 반대하여 일어났다. 이 운동은 1946년 8월, 이 위원회가 결렬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우리말샘

주2

외부와의 접촉을 제한ㆍ감시하고 외출을 허락하지 아니하나 일정한 장소 내에서는 신체의 자유를 허락하는, 정도가 비교적 가벼운 감금.    우리말샘

주3

정치적ㆍ사회적 압박이나 학대에 대하여 폭력을 쓰지 않고, 인도주의적으로 감화시켜 자기의 주장을 이루려는 사상. 제정 러시아의 톨스토이와 인도의 간디가 주창하였다.    우리말샘

주4

죽은 사람의 머리털.    우리말샘

집필자
제재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