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하집 ()

목차
관련 정보
죽하집
죽하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김익의 시 · 소 · 차 · 의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익의 시 · 소 · 차 · 의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0권 10책. 필사본. 편자 및 필사 연대는 미상이다.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1∼4에 시 425수, 단가(短歌) 5수, 권5·6에 소(疏) 28편, 권7에 소 10편, 차(箚) 12편, 권8에 차 30편, 권9에 차 21편, 계(啓) 11편, 권10에 서계(書啓) 20편, 의(議) 33편, 권11에 의 33편, 연주(筵奏) 8편, 권12에 연주 18편, 권13에 연주 18편, 강의(講議) 1편, 권14에 장계(狀啓) 5편, 원정(原情) 1편, 장(狀) 3편, 서(書) 17편, 권15에 서(書) 17편, 권16에 서(書) 9편, 서(序) 4편, 기(記) 4편, 제발(題跋) 5편, 전(箋) 4편, 혼서(昏書) 1편, 권17에 행장 2편, 시장(諡狀) 2편, 권18에 시장 3편, 권19에 묘지명 5편, 묘표 2편, 애책문(哀冊文) 1편, 제문 18편, 권20에 잡저 18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시황경(始皇鏡)」·「척원상화(陟園賞花)」·「첨배백운동서원(瞻拜白雲洞書院)」·「부석사(浮石寺)」·「효발제인관(曉發齊仁館)」·「관북(關北)」·「호행(湖行)」·「과안시성(過安市城)」·「능성호사가(能城豪士歌)」·「조선관(朝鮮館)」 등 다양한 소재의 작품이 실려 있다. 단가 5수는 「치성(雉城)」·「탐라(耽羅)」·「능성(能城)」·「동주(東州)」 등이다.

소는 사직소가 많으며, 그밖에 「걸귀양소(乞歸養疏)」·「인의소(引義疏)」 등이 있다. 차에는 「위패인구차(違牌引咎箚)」·「징토후연명인죄차(懲討後聯名引罪箚)」·「청가핵국수연명차(請加覈鞫囚聯名箚)」·「병위시패청견차(病違試牌請遣箚)」 등이 있다. 계에는 「인대사헌이계토정후겸차원의계(因大司憲李계討鄭厚謙箚院議啓)」·「우의정면출후서계(右議政勉出後書啓)」·「윤광소소후서계(尹光紹疏後書啓)」 등이 있다.

의에는 「황구첨정수령조율의(黃口簽丁守令照律議)」·「국제시대소사용악의(國制時大小祀用樂議)」 등이 있다. 연주에는 「토역연주(討逆筵奏)」·「청병판파직사장신추고연주(請兵判罷職四將臣推考筵奏)」·「청수원이읍연주(請水原移邑筵奏)」 등이 있다.

강의는 『맹자』·『주역』·『소학지남(小學指南)』·『심경(心經)』 등에 관해 해설한 것이다. 시장 중 「의정부좌참찬서포김공시장(議政府左參贊西浦金公諡狀)」은 김만중(金萬重) 연구에 참고 자료가 된다. 잡저 가운데 「쌍사서(雙四敍)」는 놀이의 근원은 쌍륙(雙六)으로부터 유래되었을 것이라는 내용으로서, 민속학 연구에 도움이 된다.

의의와 평가

문체가 다양하고 풍부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당시의 정치 실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종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