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서시랑평장사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정2품 관직.
이칭
이칭
내사시랑평장사, 첨의찬성사, 중호, 찬성사, 평장정사, 문하찬성사
목차
정의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정2품 관직.
내용

성종 때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郎平章事)를 두었는데 문종 때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을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으로 고치면서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라 하고 정원은 1인으로 하였다.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와 더불어 평장사의 관직을 구성하였다.

1275년(충렬왕 1)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로 고쳤고, 1298년 한때 폐지했다가 곧 복구하였다. 1308년 충선왕이 명칭을 중호(中護)로 고쳐 정원을 3인으로 정하고 뒤에 다시 찬성사(贊成事)라 하였다. 1356년(공민왕 5) 문종 때의 구제로 복구하였으며 1360년 평장정사(平章政事)라 하다가 1362년 다시 첨의찬성사로 고쳤으며, 1369년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로 고쳤다.

의의와 평가

중서시랑평장사는 서열상 고려시대의 평장사 가운데서 가장 하위에 처하는 관직이었다. 그러나 다른 평장사와 마찬가지로 국사를 논의하는 재신(宰臣)의 하나였다. 현재 학계에서는 고려의 3성 6부제(三省六部制)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 고려의 3성 6부는 당(唐)의 제도를 그대로 수용하여 운영한 것이 아니라 중서성(中書省)과 문하성(門下省)을 합친 중서문하성이라는 단일기구와 상서성(尙書省)으로 구성되어 실제로는 2성 6부제로 운영되었다는 견해가 정설이다. 이에 따르면 중서시랑평장사는 중서문하성의 정2품 관직이 된다. 이에 대해 고려의 3성이 당제와 마찬가지로 중서성·문하성·상서성으로 이루어져 3성 6부제로 운영되었다는 견해도 제시되었는데, 이에 따르면 중서시랑평장사는 중서성의 정2품 관직이 되어 시각의 차이가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새로 본 고려정치제도 연구』(최정환,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9)
『고려전기 정치제도 연구』(이정훈, 혜안, 2007)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재신 연구』(박용운, 일지사, 2000)
『고려정치제도사연구』(변태섭, 일조각, 1971)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에 대한 제설 검토」(박용운,『한국사연구』108, 2000)
「고려전기 재추의 운영원리와 권력구조」(박재우,『역사와 현실』26, 1997)
집필자
정학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