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반금 ()

고전시가
작품
1645년(인조 23)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정의
1645년(인조 23)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작자가 은거지인 금쇄동(金鎖洞)에서 59세 때 지은 「산중신곡(山中新曲)」의 한 편이다. 1798년(정조 22) 전라감사 서정수(徐鼎修)가 재판한 『고산유고(孤山遺稿)』 제6권과, 작자의 친필 사본인 『금쇄동집고(金鎖洞集古)』에 실려 있다.

작자의 연보에 의하면, 반금(伴琴)은 작자가 권해(權海)라는 사람에게 붙여준 별명으로, 권해는 거문고를 잘 탈 뿐만 아니라 음률을 잘 알아서 작자가 가까이 두고 틈틈이 연주하게 하였다.

내용 및 평가

작자는 자신과 반금을 마치 백아(伯牙)와 종자기(鍾子期)처럼 지음(知音 : 마음이 서로 통하는 벗)의 사이로 생각하여 이 작품을 그에게 지어준 것이다.

소ᄅᆡᄂᆞᆫ 혹(或) 이신ᄃᆞᆯ ᄆᆞᄅᆡ이 이러ᄒᆞ랴

ᄆᆞᄅᆡ은 혹(或) 이신ᄃᆞᆯ 소ᄅᆡᄅᆞᆯ 뉘 ᄒᆞᄂᆞ니

ᄆᆞᄅᆡ이 소ᄅᆡ예 나니 그ᄅᆞᆯ 됴하 ᄒᆞ노라

동양의 예악사상은 악(樂)을 ‘마음의 덕(德)’이라 한다. 즉, 소리〔音〕가 마음의 근본과 어울릴 때 악이 된다는 것이다. 소리는 그 마음을 만날 때 비로소 악이 된다.

참고문헌

『윤선도작품집』(윤성근, 형설출판사, 1977)
『윤고산연구(尹孤山硏究)』(이재수, 학우사, 1955)
집필자
최진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