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청평이거사 ()

목차
한문학
작품
고려 중기에 곽여(郭輿)가 지은 한시.
목차
정의
고려 중기에 곽여(郭輿)가 지은 한시.
내용

고려 중기에 곽여(郭輿)가 지은 한시. 작자가 이자현(李資玄)에게 준 칠언율시로, 『파한집(破閑集)』·『삼한시귀감(三韓詩龜鑑)』·『동문선』·『신증동국여지승람』에 전하며 서로 글자의 이동이 있다.

곽여는 예종의 초치에 오건(烏巾)과 학창(鶴氅)을 걸친 도가 행색으로 나타나 금문우객(金門羽客)이라 불린 인물로, 술사 은원충(殷元忠)을 따라 선풍(仙風)을 추구하였던 이자현과는 동년(同年)이다.

이자현이 청평의 문수원(文殊院) 곡란암(鵠卵菴)에서 묵좌하고 있을 때, 안찰사로 관동에 갔던 곽여가 그를 방문하여 이 시를 주었다고 한다. 『파한집』과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관련 시화가 전한다.

『동문선』에 실린 그 시는 다음과 같다. “청평 산수는 해동에 으뜸이라/그리던 그 벗을 여기서 만나다니/동년 급제 후 어느새 서른 해/천리 멀리도 떨어져 지냈구려/뜬구름 골에 들어 더러임 없고/밝은 달 내를 비춰 티끌 하나 없네/마주보고 말없길 서로 한참에/마주 비치는 해맑은 두 마음[淸平山水冠東濱 邂逅相逢見故人 三十年前同擢第 一千里外各栖身 浮雲入洞曾無累 明月當溪不染塵 擊目忘言良久處 淡然相照舊精神].”

이 시는 우정의 교환과 함께 선풍에의 흠모의 뜻을 나타내었는데, 경련(頸聯)은 경(景)을 통하여 이자현이 도달한 선풍의 경지를 암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파한집(破閑集)』
『동문선』
집필자
심경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