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산세고 ()

진산세고
진산세고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생존한 문신가, 강회백 · 강석덕 · 강희안 등 3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편찬한 시문집.
정의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생존한 문신가, 강회백 · 강석덕 · 강희안 등 3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편찬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476년(성종 7) 강회백의 손자 강희맹(姜希盟)이 편집·간행하였다. 책의 첫머리에는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정창손(鄭昌孫)의 서문이 있으며, 권말에는 김종직(金宗直)·서거정(徐居正) 등의 5편의 발문이 실려 있다. 이들 서·발문에 의해 이 책의 편집과 개판(改版) 및 이판(移板)에 따른 경과를 알 수 있다.

김종직(金宗直)의 발문에 의하면, 강희맹이 1473년에 세고(世稿)를 편집하여 함양군수로 있는 김종직에게 부탁하여 함양에서 개판하였으며, 이듬해에 강희맹이 쓴 「양화소록서(養花小錄序)」가 추각(追刻)되었다. 1476년 책판을 진주로 옮기면서 다시 강희맹이 쓴 「진산세고이진목발(晉山世稿移晉牧跋)」과 서거정의 「진산세고발(晉山世稿跋)」이 추각된 것이다.

서지적 사항

4권 1책. 목판본·목활자본. 장서각 도서와 규장각 도서에 있다. 1998년 보물로 지정된 『진산세고』는 목판본으로 박영돈이 소장하고 있다.

내용

권1은 강희맹의 조부 강회백의 문집 『통정집(通亭集)』으로, 첫머리에 강희맹이 쓴 강회백의 행장 1편과 99수의 시를 실었다. 권2는 강희맹의 부친 강석덕의 문집 『완역재집(玩易齋集)』으로, 강희맹이 쓴 강회백의 행장과 시 38수, 제(題) 4수, 만장(挽章) 2편, 찬(讚)·행장·설(說) 각 1편, 서(序) 3편, 서(書) 1편, 발(跋) 2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3은 강희맹의 형 강희안의 문집 『인재집(仁齋集)』으로, 첫머리에 김수녕(金壽寧)이 쓴 강희안의 행장 1편이 있고, 그 다음에 시 160수, 부(賦) 7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4는 강희안의 『양화소록(養花小錄)』으로 강희맹이 쓴 『양화소록』 서문과 발문, 서거정과 최호(崔灝)가 쓴 강희안의 시문집 발문이 있다. 내용으로 노송(老松)·만년송(萬年松)·오반죽(烏班竹)·국화(菊花)……종분내화수법(種盆內花樹法)·최화법(催花法)·백화기의(百花忌宜)……양화사(養花辭)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조선시대의 세고 가운데 가장 앞선 것이며, 권4에 수록된 『양화소록』은 화훼(花卉)의 전문서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강회백의 시문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풍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강석덕의 시문 중 「제몽도원도시권(題夢桃源圖詩卷)」과 「청산백운도사(靑山白雲圖辭)」는 조선 초기 회화의 대표적 인물인 안견(安堅)의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이해하는 데 자료적 가치가 있다. 강희안의 시는 대개가 제화시(題畫詩)가 많아서 시에 있어서의 회화성이 특출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양화소록』은 조선 초기의 원예학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각 화분의 품종은 물론이고 재배·관리법이나 화초의 성질까지도 역대 선인들의 처방을 발췌·활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단순한 화분의 재배·관리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대과학에서의 식물학에도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이며, 이 부분만 국역하여 간행·유포된 것도 있다.

참고문헌

『국조명신록(國朝名臣錄)』
『동문선(東文選)』
『해동잡록(海東雜錄)』
『용재총화(慵齋叢話)』
『추강집(秋江集)』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강동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