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만 ()

목차
현대문학
문헌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에서 김동명의 시 「설중화송」 · 「아가의 말」 · 「진주만」등을 수록하여 1954년에 간행한 시집.
목차
정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에서 김동명의 시 「설중화송」 · 「아가의 말」 · 「진주만」등을 수록하여 1954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A5판. 1954년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에서 간행하였다. 작자의 제5시집으로 1955년 제2회 자유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체재는 7부로 나누어 편성하고 있고 책의 말미에는 저자의 후기가 있다.

내용

1부 ‘강(江)물은 흘러간다’에 「설중화송(雪中花頌)」·「연기(煙氣)」 등 11편, 2부 ‘아가의 꿈’에 「아가의 말」·「답설부(踏雪賦)」 등 6편, 3부 ‘암흑과 함께’에 「술회」·「패강부(浿江賦)」 등 12편, 4부 ‘진주만’에 「진주만」·「만가」 등 10편, 5부 ‘새 나라의 구도’에 「새 나라의 구도」·「새 나라의 환상」 등 3편, 6부 ‘정원기(庭園記) Ⅰ’에 「오랑캐꽃」·「접중화」 등 8편, 7부 ‘정원기(庭園記) Ⅱ’에 「수양(垂楊)」·「정원행(庭園行)」 등 6편, 모두 56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시집 후기에 밝혀져 있듯이, 이 책의 시편들은 김동명이 1945년에서 1947년 봄까지 함경남도 서호진(西湖津)에 있을 때 쓴 것이다. 1930년에 간행된 첫 시집 『나의 거문고』와 1938년 간행된 『파초(芭蕉)』 등 김동명의 초기 시에서 보인 전원적인 소재와 향수와 비애의식을 바탕으로 한 서정성에서 전환하여 정치와 사회 현실에 대한 저자의 관심이 짙게 투영된 것을 특색으로 들 수 있다.

일본의 패망과 함께 되찾은 조국, 8·15광복의 민족적 감격과 환희, 그리고 새 나라 건설을 위한 희망찬 설계를 노래하고 있다. 특히, 「진주만」·「미뜨웨이」·「산호해」·「꽈달칼날도」·「라바울」·「사이판」·「비율빈」·「충승(沖繩)」·「동경」·「만가」 등으로 이어지는 ‘진주만’의 시편들은 제2차 세계대전과 일본 패망의 역사를 노래한 것이다.

“아득히 감람(紺藍) 물결 위에 뜬/한포기 수련화(睡蓮花)”로 시작되는 「진주만」에서 “아아 여인이여, 돌아가자, 네 옛 서울 ‘사비’의 고성(古城)으로― 눈물로 마음을 닦어 새 아츰을 기다리리!”로 끝나는 「만가」의 마지막 행까지 일제치하에서 우리 민족이 겪은 아픔과 쓰라림을 노래하고 있다. 이런 주제의식은 조국을 잃은 민족적 비운을 파초에 의지하여 부른 초기 시 「파초」에 나타난 민족 관념과 맥락이 이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시인연구(韓國現代詩人硏究) -기타(其他)-』(정태용, 어문각, 1976)
『한국작가전기연구(韓國作家傳記硏究)』(이어령, 동화출판공사, 1975)
『한국근대시인연구(韓國近代詩人硏究)』(김학동, 일조각, 1973)
집필자
김학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