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자비 ()

목차
관련 정보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탁본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탁본
서예
개념
전해 내려오는 서예가의 글씨를 응용하여 새긴 비(碑).
목차
정의
전해 내려오는 서예가의 글씨를 응용하여 새긴 비(碑).
내용

672년(咸亨 3)에 완성한 대당삼장성교서(大唐三藏聖敎序)는 당태종(唐太宗)의 명으로 승(僧) 회인(懷仁)이 20여 년 동안 새긴 것으로, 왕희지(王羲之) 글씨의 집자비로는 제일 앞선다.

우리 나라의 집자비로는 성교서에서 집자한 무장사아미타여래조상사적비(鍪藏寺阿彌陀如來造像事蹟碑)가 처음이다. 신라 애장왕 즉위 초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비는 신라 소성왕의 계화부인이 왕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집자를 분명히 밝힌 것으로는 고려 초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흥법사진공대사탑비(興法寺眞空大師塔碑)와 954년(광종 5)에 건립된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太子寺朗空大師白月栖雲塔碑)가 있다.

진공대사탑비의 ‘臣崔光胤奉 敎集 太宗文皇□□□(신최광윤봉 교집 태종문황□□□)’과, 890년(진성여왕 4)에 건립된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국보, 1962년 지정)에 당태종이 쓴 온탕(溫湯)·진사(晋祠) 두 비에 관한 기재로 미루어 보아 당태종의 글씨를 집자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는 김생(金生) 글씨의 집자임을 분명히 밝혔다. 김생이 왕희지 글씨에 근거를 둔 것으로 보아 신라 말 고려 초에 왕희지와 당태종의 글씨가 크게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상(上)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세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