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회 ()

목차
관련 정보
참회도량
참회도량
불교
의식행사
불교에서 잘못을 뉘우쳐 해탈을 구하는 수행법을 지칭하는 용어. 불교수행법.
내용 요약

참회는 불교에서 잘못을 뉘우쳐 해탈을 구하는 수행법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불교수행법의 하나이다. 원시불교의 참회는 스스로 고백하는 참회와 타인으로부터 지적을 받아서 하는 참회로 이루어졌는데, 대체로 수행이나 교단 통제의 법식으로 여겨졌다. 그에 비해 대승불교의 참회는 의미가 크게 확대되어 단순한 죄업의 소멸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참회 자체가 궁극적 수행이자 깨달음에 도달하는 과정으로 전환되었다. 생사의 꿈을 깨는 노력을 참회라고 본 원효는 참회와 해탈, 참회와 본각을 일치시킴으로써 이전의 소극적인 참회를 적극적인 참회로 바꾸어놓았다.

목차
정의
불교에서 잘못을 뉘우쳐 해탈을 구하는 수행법을 지칭하는 용어. 불교수행법.
내용

참회의 참(懺)은 범어의 크샤마(kṣam), 懺摩)의 음역으로 ‘용서를 빈다’, ‘뉘우친다’, ‘인(忍)’이라는 뜻을 가진 말이며, 회(悔)는 크샤마의 의역이다. 범어에서 오늘날까지 ‘미안하다’는 말을 크샤먀탐(kṣamyatâm:내가 범한 죄를 참고 견디어 달라.)이라고 하는 것을 생각하면 그 뜻을 잘 파악할 수 있다. 이 참회에 대한 원시불교와 대승불교의 견해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원시불교의 참회에는 포살(布薩)자자(自恣)가 있다. 포살이란 비구들이 보름마다 한 번씩 부처나 대비구(大比丘)를 모시고 계본(戒本)을 읽는 전통적인 의식이다. 이때 계(戒)를 범한 비구들은 대중 속에서 그 죄를 고백하여 참회를 얻는 것이다. 참회를 받고 훈계하는 대비구에게는 5개 항의 주의가 요구된다.

① 때에 따라서 말할 것, ② 진실성을 지닐 것, ③ 부드럽게 말할 것, ④ 이익을 주는 방향으로 말할 것, ⑤ 자비심을 지니고 말할 것 등이다. 그래서 참회를 데사나(desāna:고백하는 것)라고 한다. 자발적으로 자기의 모든 허물을 동료 비구들 앞에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세심한 배려가 취해진 것이다.

자자는 매년 여름 안거(安居:승려들이 모여 3개월 동안 함께 수행함) 최종일에 비구들이 서로 모여 격의 없이 비판하는 속에 각자가 스스로 참회하여 그 덕행을 연마하는 방법이다. 포살이 스스로의 고백에서 이루어지는 참회라면, 자자는 타인으로부터 지적을 받아서 참회하는 것이다.

이 원시불교의 참회가 계율과 밀착된 참회임은 포살 때 계본을 읽어간다는 점을 보아 틀림이 없지만, 특히 소승율장(小乘律藏)을 살펴보면 더욱 명백해진다. 살생 · 도둑질 · 사음 · 거짓말의 사중죄(四重罪)를 범한 비구는 참회가 허락되지 않을 뿐 아니라 교단에서 추방되었다. 그 밖의 죄일 때 중죄는 대중 앞에서 참회함으로써, 경죄는 한 사람 앞에 참회함으로써 용서를 받는다.

이것이 후기 소승불교에서는 커다란 반발을 불러일으켰지만, 포살이나 자자라는 참회법이 비구 자신의 수행이나 교단 통제의 체계화를 꾀하는 데는 중요한 구실을 하였으며, 교단에서 가장 중요한 법식으로 행해졌다는 사실은 특히 주목되는 점이다.

대승불교의 참회는 일반적으로 자기의 죄를 인정하는 자가 시방삼세(十方三世)의 부처에게 귀의하고 참회하여 섭수(攝受)됨으로써 죄의 공포로부터 해탈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것은 불멸 후(佛滅後:부처의 열반 이후) 세월이 흐름에 따라 계율이 교단 내에서 상당한 시비를 일으키게 되는데, 부처 당시처럼 대비구가 많지 않은 데서 비롯된 시대적 사조 또한 하나의 이유가 되고 있다.

수행이나 교단의 통제에 커다란 구실을 하였던 원시불교의 참회는 대승불교에 와서 그 의미가 크게 확대되고 상당한 깊이를 더하게 되었다. 『대승본생심지관경(大乘本生心地觀經)』에서는 참회의 이익을 열 가지로 나타내고 있다.

“만약 능히 법(法)답게 참회하면 번뇌가 잠시 사이에 제거된다. ① 참회는 능히 번뇌의 땔감을 태우고, ② 참회는 능히 천상(天上)에 태어나게 하며, ③ 참회는 능히 사선(四禪:항상 즐거움만 있는 四禪天에 태어남)의 낙(樂)을 얻고, ④ 참회는 마니보주(摩尼寶珠:재앙을 없애는 등 원하는 바를 이루어 주는 보배구슬)를 내리게 하며, ⑤ 참회는 능히 금강(金剛)의 수명을 늘리고, ⑥ 참회는 능히 상락궁(常樂宮)에 들게 하며, ⑦ 참회는 능히 보리(菩提)의 꽃을 피우며, ⑧ 참회는 능히 삼계(三界)의 감옥을 벗어나며, ⑨ 참회는 능히 불(佛)의 대원경지(大圓鏡智:원만하고 분명한 지혜)를 보게 하며, ⑩ 참회는 능히 보소(寶所:열반의 경지)에 이르게 한다.”

이 중에서 번뇌의 땔감을 태우고 천상에 태어나게 한다는 것은 소승의 뜻과 크게 다를 바 없다. 그러나 소승의 구경지(究竟地)인 사선을 얻게 된다고 한 것이나, 삼계를 벗어나고 금강의 수명을 늘리며, 상락궁, 보리의 꽃, 부처의 대원경지 등을 설하고 있는 것은 참회가 단순한 죄업의 소멸이라는 뜻이 아니라, 참회 자체가 수행의 구경지요, 열반의 상락궁이라는 궁극의 과보(果報)임을 설한 것이다.

대승불교의 발전과 함께 참회법도 여러 가지 형식이 갖추어지고 교리적으로도 체계화되어 갔다. 그 유형별로 보아 현재 다소나마 유통되는 것으로는 이종참회(二種懺悔) · 삼종참회 · 삼품참회(三品懺悔) · 육근참회(六根懺悔) 등이 있으며, 종파별이나 출가별 · 재가별에 따라 그들 나름대로의 방식에 의하여 실천되었다.

이들 가운데 우리 나라 참회의 기본 근거가 된 것은 이종참회와 삼종참회이다. 이종참회는 이참(理懺)과 사참(事懺)이다. 사참은 일을 따라서 분별하여 참회하는 방법으로, 몸으로는 부처에게 예배하고 입으로는 찬탄의 게송(偈頌)을 외우며, 마음으로는 성스러운 모습을 그리면서 과거와 현재에 지은 바 죄업을 참회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참회라고 하면 이 사참을 뜻한다.

이참은 모든 법의 실상을 관찰하여 참회를 얻는 방법이다. 이는 과거와 현재에 지은 모든 죄업들이 마음에서 일어난 것일 뿐 마음 밖의 것은 하나도 없다고 보는 유식학(唯識學)의 주장에, 자심(自心)이 본래 공적(空寂)인 줄을 알면 모든 죄상(罪相) 또한 공적에 불과하다는 반야사상이 합치되어 이룩된 참법(懺法)이다.

삼종참회는 작법(作法) · 취상(取相) · 무생(無生) 참회이다. 작법참회는 경과 논에 규정되어 있는 작법에 따라 그 죄의 잘못됨을 고백하고 다시는 짓지 않겠다고 하는 참회법이다. 취상참회는 관상참회(觀相懺悔)라고도 하는데, 선정에 들어 참회를 생각하면서 부처를 관(觀:지극히 생각함)하면 불보살이 와서 정수리를 만져주며 수기(授記)를 줌으로써 참회를 성취하는 것이다. 무생참회는 마음을 바르게 하고 단정하게 앉아 무생무멸(無生無滅)의 실상(實相)을 관하여 죄의 본성이 무생임을 깨닫는 것이다.

이 가운데 앞의 둘은 사참에 속하고 무생참회는 이참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참회는 상당한 이성과 사려를 필요로 하는 것이며, 그 법식 또한 쉬운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부처의 명호를 부르면서 참회하는 쉬운 방법이 나오게 되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미타참법(彌陀懺法) · 관음참법(觀音懺法) 등이 있는데,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이것이 널리 유통되고 있다.

이것은 불보살이 인행시(因行時:부처가 되기 위해 큰 원을 세우고 수행할 때)에 세운 원(願)과 깊이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불보살의 맑은 그 이름을 일념(一念)으로 외우면 모든 죄업이 남김 없이 소멸되고 청정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 나라에서 특히 많이 행하여진 참회법은 점찰참법(占察懺法) · 법화삼매참법(法華三昧懺法) · 대승육정참회(大乘六情懺悔)이다.

① 점찰참법은 윷가지 모양의 간자(簡子) 10개에 살생 · 도둑질 등 열 가지 죄목을 써서 그것을 허공에 던져 나타나는 죄목을 보고 전생을 참회하는 것으로, 일찍이 신라의 원광법사(圓光法師)에 의하여 보급, 전승되었다. 이 점찰법은 통일신라시대의 고승 진표(眞表)에 의하여 널리 보급되었는데, 진표는 몸이 부서지는 맹렬한 참회를 행한 뒤 점찰법에 의한 참회불교의 체계를 정립하였고, 그의 뒤를 이은 영심(永深)과 심지(心地) 등도 참회불교에 의한 해탈을 추구하였다.

② 법화삼매참법은 주1』 및 『관보현보살행법경 주2을 근거로 하여 참회하는 불교의식이다. 삼칠일(三七日) 동안을 기한으로 정하여 『법화경』을 독송하면서 죄업을 참회하고 실상중도(實相中道)의 도리를 관조하는 수행법이다. 참회하는 방법은 먼저 6시(時) 5회(會)라 하여 아침 · 낮 · 해질녘 · 초저녁 · 밤중 · 새벽의 여섯 시기에 참회 · 권청(勸請) · 수희(隨喜) · 회향(廻向) · 발원(發願)하는 다섯 가지 수행법을 닦는다.

삼매(三昧)에 드는 방법으로 신개차(身開遮) · 구설묵(口說默) · 의지관(意止觀)의 세 가지가 있다. 첫째, 몸으로는 다니고 앉는 두 가지를 열어 행하고, 머물고 눕는 두 가지는 차단한다. 둘째, 입으로는 대승경전을 외우고 수행과 관련이 없는 말은 하지 않는다.

셋째, 뜻에 속하는 것으로는 유상행(有相行)과 무상행(無相行)이 있다. 유상행은 앉으나 서나 다니거나 일심으로 『법화경』을 외우고 밤낮 6시에 6근(根)으로 지은 죄업을 참회하는 것이다. 무상행은 『법화경』 안락행품(安樂行品)에 의하여 깊고 묘한 선정(禪定)에 들어가 6정근(情根)을 관하며 실상삼제(實相三諦)의 정공(正空)에 달하는 삼매를 말한다.

이와 같은 법화삼매참법은 우리 나라 및 중국의 천태종(天台宗)을 중심으로 하여 널리 행하여졌다. 특히, 고려 중기의 요세(了世)는 이 참법의 실천으로 천태종의 중흥을 도모하였고, 뒤를 이은 백련사(白蓮社)의 국사들과 수많은 고승들이 이 참법에 의지하여 삼매를 이루었다.

요세는 참의(懺儀)를 닦음에 있어 육신이 허락하는 한 하루에도 53불에게 예배하기를 12번씩 하였으며, 남해산(南海山) 기슭에 80여 칸에 달하는 보현도량(普賢道場)을 짓고, 지의(智顗)가 지은 『법화삼매참의』에 따라서 왕생정토(往生淨土)를 구하는 법화삼매를 닦았던 것이다.

③ 대승육정참회는 신라의 원효(元曉)가 대승의 사상을 요약하여 설파한 참회법이다. 중생이 눈 · 귀 · 코 · 혀 · 몸 · 뜻의 6정으로 여러 가지 번뇌를 만들어서 괴로워하지만, 근본무명(根本無明)을 버리고 죄업의 체(體)가 없음을 관찰하면 합리적인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이 참회는 처음 수행하려고 발심한 초발심보살(初發心菩薩)을 위하여 만든 것이다. 그는 참회를 중생의 생활과 살아 있는 동작 하나하나에서 찾아야 하며, 참회가 모든 부처와의 합일을 향한 수행임을 밝히고 있다. 또, 참회의 대전제로서 육도(六道:죽어서 윤회하는 여섯 종류의 세계)의 중생을 위하고, 모든 부처에게 귀명(歸命)하여야 하며, 중생에 대한 동체대비심(同體大悲心)을 가져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귀명하여야 할 부처는 인격적이고 외형적인 부처보다는 내면적이고 실상적인 삼신불(三身佛:法身 · 報身 · 化身의 셋으로 佛身을 나눈 것)을 귀명의 대상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이곳을 부처의 세계라 보았고, 참회자는 결코 일심의 불국토(佛國土)에서 떠난 일이 없었지만 무명이 일심(一心:있는 그대로의 진실된 모습. 곧 眞如)을 가려서 여러 가지 죄업을 짓게 되는 것이며, 일심을 회복하여 가질 때 참회를 마치게 되고 불국토에서 모든 부처와 함께 살아가게 된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참회의 방법으로 먼저 사참을 제시하였다. 즉, 부처의 자비에 의지하여 지성껏 참회하되 이미 지은 죄는 깊이 뉘우치고 아직 짓지 않은 죄는 앞으로도 짓지 않을 것을 맹세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죄의 본성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있다. 특히, 생사의 꿈을 깨는 노력을 참회라고 본 원효는 참회와 해탈, 참회와 주3을 일치시키고 있다.

결론적으로 원효는 인생이라는 꿈 속에서 꿈이 꿈이라는 것을 관하는 여몽관(如夢觀)을 닦아 여몽삼매(如夢三昧)를 이룰 때, 모든 죄업은 사라지고 궁극적인 목적인 무생법인(無生法忍:나고 죽음이 없는 진리의 세계)을 얻게 된다고 주장한 것이다. 원효는 대승육정참회를 통하여 죄업이 본래 무생임을 깊이 깨닫고 철저하게 일심의 원천으로 돌아가 본각과 합일할 때 진정한 참회가 이루어진다고 설파함으로써, 그 이전의 소극적인 참회를 적극적인 참회로 바꾸어놓았다.

참고문헌

『삼국유사』
『대승육정참회(大乘六情懺悔)』
『한국천태사상연구』(불교문화연구소 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3)
『신라불교의 이념과 역사』(조명기, 경서원, 1982)
「원효의 참회사상」(김현준, 『불교연구』 2, 한국불교연구원, 1986)
주석
주1

가야성(迦耶城)에서 도를 이룬 부처가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경전. 모든 불교 경전 가운데 가장 존귀하게 여겨지는 경전이다. 쿠마라지바가 중국어로 번역하였다. 8권 28품.    우리말샘

주2

중국 송나라 때에, 담마밀다(曇摩密多)가 번역한 경전. 석가모니가 입멸 석 달 전에 비야리국 대림정사에서 아난다, 가섭, 미륵 등의 물음에 대답하여 설법한 것으로, 죄를 참회하는 법과 참회한 뒤의 공덕을 설명하였다.    우리말샘

주3

삼각(三覺)의 하나.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의 본성을 깨달음을 이른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선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