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안동 임청각 봉창
안동 임청각 봉창
주생활
개념
실내의 환기 및 채광을 위하여 벽체에 개구부를 내고 개폐할 수 있도록 만든 문.
목차
정의
실내의 환기 및 채광을 위하여 벽체에 개구부를 내고 개폐할 수 있도록 만든 문.
내용

창은 개폐 방법에 따라 여닫이·미세기·두껍닫이·벼락닫이·붙박이 등으로 구분되고, 짜임새에 따라 울거미를 만들고 살대를 엮어서 만든 것, 살대만으로 만든 것, 판재(板材)를 위주로 만든 것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창이 처음으로 등장할 때는 개구부를 내고 거적으로 덮거나 휘장 등을 치는 것이었다. 창을 열고 닫는 기법이 보편화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중간 과정으로 살창이 상당한 기간 이용되었음은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가형토기(家形土器)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살대로만 된 창은 항상 열려 있는 상태이므로 부엌이나 창고 등에서는 아직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이 거주하는 방에서는 필요에 따라 막을 수가 있어야 되기 때문에, 판자로 된 덧판을 만들어 붙였다 떼었다 하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덧판식의 개폐방법이 발전하여 한쪽에 회전축을 만들어 쓰는 지도리형식이 나타나고 이어서 돌쩌귀에 의한 개폐가 일반화되었다.

널빤지로 된 창은 무겁기 때문에 회전축을 받치는 구조가 튼튼하여야 하고, 열고 닫는 데에도 불편하며 고장도 잦다. 여기에서 좀더 발달한 것이 살대를 엮어서 울거미로 테두리를 한 형식으로 무게가 가벼워졌다. 가벼운만큼 돌쩌귀로도 지탱할 수 있고, 여닫기도 쉬우며 고장도 적어졌다. 여기에는 창호지와 같은 종이의 등장이 결정적인 구실을 하였다.

밖의 공기를 차단하여야 하는 구실도 하면서 가벼워야 하는 조건이 갖추어진 창호지의 등장은 창이나 문의 외형을 근본적으로 바꾸어놓은 것이다. 살대의 적절한 구성은 집의 외관을 한결 부드럽고 아름답게 꾸며주었다. 살림집에서의 창은 닫았을 때 방안을 따뜻하게 하여야 한다.

그래서 창 틈으로 들어오는 찬바람이나 얇은 창호지로 인한 한기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이중이나 삼중의 창을 단다. 맨 바깥쪽의 창은 띠살 등으로 꾸민 여닫이로, 그 다음은 얇은 명장지[明障子]로 미세기이며, 맨 안쪽은 맹장지[盲障子]로 두껍닫이이다. 보통의 집에서는 여닫이와 미세기까지만 설치하는 경우가 많고, 잘 지은 집에서는 맹장지까지도 한다.

창의 살대가 짜이는 무늬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이 있는데, 여닫이의 경우 띠살·정자살·빗살 등과 특수하게 꽃살이 있으며, 미세기는 용자살·아자살·완자살 등이 있다. 특수한 것으로 들창·눈꼽재기창·불발기 등이 있으며, 분합문의 상부에 별도로 설치한 교창(交窓)이 있다. 채광만을 위하여 고정시킨 붙박이창은 창고·다락 등에 많이 쓰인다.

참고문헌

『한국건축의장』(주남철, 일지사, 1981)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집필자
황의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