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왕본풀이 (풀이)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제주도 굿에서 해와 달을 정리하고 이승법과 저승법을 마련한 대별왕 · 소별왕 형제의 내력을 풀이할 때 구연하는 서사무가.
내용 요약

「천지왕본풀이」는 제주도 굿에서 해와 달을 정리하고 이승법과 저승법을 마련한 대별왕·소별왕 형제의 내력을 풀이할 때 구연하는 서사무가이다. 여러 개의 해와 달을 화살을 쏘아 떨어뜨려 하나씩만 남겨 일월을 정리한 이야기, 꽃을 바꿔치기하는 부정한 방법으로 내기에서 이긴 자가 이승을 차지하는 바람에 이승법이 저승과 달리 맑지 못하고 혼탁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통해 인간 세상의 질서가 어떻게 성립된 것인지를 보여 준다.

목차
정의
제주도 굿에서 해와 달을 정리하고 이승법과 저승법을 마련한 대별왕 · 소별왕 형제의 내력을 풀이할 때 구연하는 서사무가.
내용

채록본(採錄本)에 따라 서사의 구성 요소나 순서 등에 차이가 있다. 특히 악행을 일삼는 수명장자를 징계하여 다스리는 이야기는 일부 채록본에만 등장하는데, 징계의 주체나 내용, 결과 등도 채록본에 따라 다르다. 현용준의 채록본을 중심으로 하여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천지가 개벽하고 만물과 별과 해와 달이 생겨났을 때의 일이다. 해도 둘, 달도 둘인지라 인간 백성들은 낮에는 뜨거워서 죽고 밤에는 추워서 죽을 지경이었다. 천지왕은 지상에 내려와 총멩부인과 인연을 맺었다. 다음날 천지왕은 총멩부인으로부터 사람들을 괴롭히는 수명장자가 있음을 알게 된다. 천지왕은 수명장자를 징계하여 다스린 다음 하늘로 올라갔다. 총멩부인은 아들 둘을 낳아, 형의 이름을 대별왕, 아우의 이름을 소별왕이라 지었다. 형제는 자라나 아버지를 찾아가려고 천지왕이 남기고 간 박씨를 심었다. 박씨에서 싹이 나서 그 줄기가 하늘로 뻗어 가니, 형제는 그 줄을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 그리고 1,000근 활 100근 화살로 해와 달을 각각 하나씩 쏘아 떨어뜨려 일월을 정리했다. 형제는 이승과 저승을 각기 차지하여 질서를 마련하고자 했다. 그러나 서로 이승을 차지하고 싶었기 때문에, 형제는 누가 이승을 차지할 것인가를 두고 서로 내기했다. 형제는 여러 가지 문답으로 지혜를 겨루다가, 결국에는 꽃씨를 심어 어떤 꽃씨에서 꽃이 피는가를 보고 승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대별왕이 심은 꽃씨는 꽃이 번성하여 ‘번성꽃’이 되고, 소별왕이 심은 꽃씨에서 피어난 꽃은 시들시들 ‘검뉴울꽃’이 되니, 소별왕은 형 대별왕이 잠든 사이에 자신의 꽃과 대별왕의 꽃을 바꿔치기했다. 이렇게 해서 속임수로 내기에서 이긴 소별왕이 이승을, 대별왕이 저승을 차지하게 되었으니, 저승법은 맑고 청랑한 데 반해 이승법은 그렇지 않아 살인 · 역적 · 도둑 · 간음(姦淫) 등이 일어나게 되었다.

특징

1쌍의 신격(神格)이 이승과 저승을 나누어 맡는 것, 여러 개의 해와 달을 화살을 쏘아 떨어뜨려 정리하는 것, 꽃이 어떻게 피는가를 보고 인세 차지 경쟁의 승자를 결정하는 방식, 이승의 혼란한 질서는 속임수를 써서 내기에서 이긴 자가 이승을 차지했기 때문이라는 것 등은 「천지왕본풀이」뿐만이 아니라 함경남도의 셍굿무가, 경기도의 시루말 등 다른 지역의 무가에서도 보인다.

한반도 무가에서는 천지왕의 아들 대별왕과 소별왕 형제 대신 미륵과 석가가 등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여러 개의 태양이 함께 나타난 것을 하나만 남기고 없앤 이야기는 「도솔가(兜率歌)」의 배경 설화(背景說話)로도 기술되어 있다. 사일(射日) 신화나 짝패의 이승 차지 경쟁 · 내기에 등장하는 꽃 등은 세계적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신화소(神話素)로도 주목된다.

의의와 평가

일월 조정(정리)과 같은 자연 질서의 정립에서부터 시작하여, 인간 세상이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자리하게 된 내력을 밝히는 서사무가이다. 제주 무가 전승 집단의 세계관을 알아차릴 수 있는 서사무가로 평가된다. 무가를 이루는 신화소가 시대와 공간을 달리하는 다른 서사물에서도 발견되는바, 서사적 영향 관계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장주근, 『제주도무속과 서사무가』(역락, 2001)
현용준, 『(개정판)제주도무속자료사전』(각, 2007)

단행본

김헌선, 『한국의 창세신화-무가로 보는 우리의 신화』(길벗, 1994)
심재관 외, 『한국의 창세신화-무가로 보는 우리의 신화』(씨아이알, 2013)

논문

강소전, 「〈천지왕본풀이>의 의례적 기능과 신화적 의미」(『탐라문화』 32,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08)
현용준, 「월명사도솔가 배경설화고」(『한국언어문학』 10, 한국언어문학회, 1973)
주석
주1

원래 하나의 혼돈체였던 하늘과 땅이 서로 나뉘면서 이 세상이 시작되었다는 중국 고대의 사상에서 나온 말로, 천지가 처음으로 열림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해와 달과 별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기록으로 남아 있지 않은 신화나 설화, 민요 따위를 기억하고 있는 제보자를 찾아가 이야기나 노래 따위를 듣고 난 후, 그 구술 내용을 적거나 녹음해 둔 자료나 책. 우리말샘

주5

부정한 성관계를 함. 주로 배우자 이외의 사람과의 성관계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6

신으로서의 자격이나 격식. 우리말샘

주7

문학 작품의 배경이 되는 설화. 우리말샘

주8

짝을 이룬 패. 우리말샘

주9

신화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 신화로 채택되기 전 평범했던 자연물이나 사물이 신화 속으로 들어오면 그것은 곧 강한 힘을 가지거나 독특한 의미를 띠게 되어 후손에게 전달된다. 우리말샘

집필자
정진희(아주대학교 특임교원, 구비문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