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청량사 석조 여래 좌상 ( )

합천 청량사 석조여래좌상 전경
합천 청량사 석조여래좌상 전경
조각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청량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석조 불상. 보물.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청량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석조 불상. 보물.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청량사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불상이다. 불상은 광배[光背 : 붓다의 몸에서 나온 빛의 표현]와 대좌를 모두 갖추고 있다. 전체 높이 2.85m이며, 이 중 불상은 2.1m, 대좌는 70㎝이다. 청량사 석조여래좌상에 관한 어떠한 기록도 남아 있지 않아 구체적인 조성 배경을 알 수 없다.

내용

편단우견[偏袒右肩 :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옷을 입는 것] 형식으로 법의[法衣 : 불상의 옷]를 착용하고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 마귀를 항복시키고 이를 지신(地神)에게 증명하게 하는 손 자세로, 오른손은 땅을 가리키며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한 채 배 앞에 둠]을 결하고 있는 불좌상이다. 불상은 입체감 있는 조형과 당당한 자세를 갖추고 있다. 불상은 넓고 편평한 육계[肉髻 : 정수리 위에 솟아나온 부분]와 큼직큼직한 나발[螺髮 : 소라 형태의 머리카락]의 머리카락, 반원을 그리는 눈썹, 살짝 뜬 눈, 그다지 길지 않는 코, 짧은 인중, 다문 입, 큰 귀를 가지고 있다. 양 볼은 팽창되어 있으며, 이중 턱이 생길 정도로 살 찐 상태이다. 불상은 얼굴 측면이 상당히 넓어진 모습을 하고 있다. 목에는 삼도[三道 : 세 개의 선]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

불상은 넓고 당당한 어깨에 약간 살이 찐 모습이다. 즉 어깨와 가슴, 팔, 양손, 오른쪽 발목 등에서는 살이 쪄서 근육이라곤 전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양쪽 가슴 위에 젖꼭지를 새기는 등 사실적으로 표현하려한 흔적이 역력하다. 법의의 주름은 평행 계단식으로서 간결하면서도 형식화되었고, 양 손 손가락도 형태만 보일 뿐 사실성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다.

불상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 보이는 광배는 연잎 형태로서, 그 속에 두광[頭光 : 머리 주위의 빛의 표현]과 신광[身光 : 몸 주위의 빛의 표현]을 따로 구획하였다. 두광의 중심에는 연화문에 새겨져 있다. 두 줄의 띠로 구획된 두광과 신광 밖에는 역동적이며 사실적으로 표현된 불꽃 문양이 새겨져 있다. 광배의 윗부분에는 지권인[智拳印 : 비로자나불의 손 자세로, 보통 가슴 앞에서 왼손 검지를 세우고 오른손으로 감싸 쥔 모습]을 결한 화불[化佛 : 작은 불상]이 새겨져 있으며, 두광의 양옆에는 천의(天衣)를 휘날리면서 내려오고 있는 비천상(飛天像)이 각각 새겨져 있다.

대좌는 상대(上臺)와 중대, 하대를 갖춘 방형(方形) 대좌이다. 상대는 이단(二段)으로 되어 있으며, 문양이 새겨져 있지 않다. 중대는 그다지 높지 않으나, 각 면 모서리에는 기둥 돌이 조각되어 있고, 각 면마다 연화대좌에 앉아 있는 다양한 모습의 보살상이 새겨져 있다. 하대는 윗부분에 각각 안상(眼象)이 새겨져 있으며, 그 아래에 복판연화문[複瓣蓮華文 : 두 개의 연꽃잎으로 문양을 만든 것]으로 표현된 복련[覆蓮 : 연꽃을 엎어 놓은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 다시 그 밑에 각 면마다 2구씩 갑옷을 입고 무기를 들고서 천의(天衣)를 휘날리며 앉아 있는 팔부신중상(八部神衆像)이 새겨져 있다.

불상은 편단우견 형식으로 법의를 입고 항마촉지인을 결하였다는 점에서 통일신라시대 8세기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지만, 상호의 특징과 간략화된 법의 주름, 광배의 문양, 새로운 형식의 대좌 등을 통하여 통일신라시대 9세기 중엽에 조성되었다고 생각된다.

특징

청량사 석조여래좌상의 대좌는 중대에 보살상이, 하대에 팔부중상이 새겨져 있는 유일한 예이다. 이들 도상들은 탑의 기단부에서는 일부 확인되지만, 불상의 대좌를 장엄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의의와 평가

통일신라시대 8세기에 유행하던 편단우견 형식으로 법의를 입고 항마촉지인을 결한 불좌상의 영향을 받아 9세기 중엽에 조성된 것이다. 석조여래좌상에는 새로운 형식의 대좌가 확인되어 통일신라시대 9세기 불상 대좌 연구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석불: 돌에 새긴 정토의 꿈』(최성은, 한길아트, 2003)
「陜川 淸涼寺 石造佛坐像의 양식적 특징에 관한 연구」(서지민, 『신라문화』 52,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8)
「합천 청량사 석조여래좌상에 대하여」(지강이, 『문물연구』6,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02)
「합천 청량사 석조여래상의 대좌」(신영훈, 『고고미술』38, 한국미술사학회, 1963)
집필자
배재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